A Study on the Dwelling Behavior Patterns and Space Planning of Koreans in the Unite States - Focused on Columbia, Missouri -

한국인 거주 미국주택의 공간별 주생활행위와 공간구성 및 사용행태 - 미주리 주 콜롬비아 시를 중심으로-

  • 이지헌 (위스컨신-밀워키대학교 건축과) ;
  • 신경주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 장상옥 (경상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hous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living behaviors of Korean people who reside in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includes examination of dwelling units, especially focusing on dwelling behaviors by space types, arrangement and use of the space, and the according residence patterns of the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and survey method were conducted; photography were taken as a visual evidence; and results were analyzed by researchers. This study strongly indicates that most of Koreans try to keep their own way of living in foreign cultures and rather readjust the housing spaces and living patterns to their own cultu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all Korean families living in foreign cultures, because a convenience sample was used. Although studies of Korean families in Columbia, MO may not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generalized to the entire population of Koreans overseas, we expect that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sight in understanding and estimating the future trends in residential planning for Koreans.

Keywords

References

  1. 주거학연구회,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파주, 2005
  2. 주거학연구회, 주거.문화.디자인, 신광출판사, 서울, 1994
  3. Altman, I. & Chemers, M, Culture and Environment Monterey, Cole Publishing Company, Three Lakes, WI, 1980
  4. Rapoport, A, Cross-Cultural Aspects of Environmental Design, In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Plenum Press, New York, NY, 1980
  5.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2005 Annual Census Report of Intemational Students and Scholars at the Universiη of Missouri-Columbia,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Columbia, MO,2005
  6. 강형구, 아파트 안방의 가구와 주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2005
  7. 김미희.이유미, 중소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대표적인 주생활행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 16권 6호, 2005
  8. 박남희.이준민, 브랜드 아파트의 평형별 평면계획 내용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2권 3호, 2006
  9. 신경주${\cdot}$장상옥${\cdot}$이지헌, 미국 지방 주택의 실내 인테리어와 거주 한국인의 만족도,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6호, 2008
  10. 선경주.황윤정.이지헌, 중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욕설디자인 만족도와 선호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17권 5호, 2008
  11. 이도영, 미국내 한인 이민가정들을 대상으로 한 주거조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14권 8호, 1998
  12. 이영심, 해외거주 한인의 주공간 사용 및 주생활 분석을 통해 본 주거문화의 비교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제 46권 1 호, 2008
  13. 이희봉, 재미교포 주거 건축을 통한 사용자 문화 현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4권 11호, 1998
  14. 장상옥.신경주, 재한 미국인의 주택계획을 위한 사례조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39권, 2003
  15. 장상옥.신경주, 재한 서구인의 주거공간 사용 행태 및 요구분석-현관, 욕실, 세탁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0권 6호, 2004
  16. 정무웅, 건축문화와 환경행태, 건축 제 45권 6호, 2001
  17. 조성희, 문화접변에 따른 주양식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행태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9호, 1996
  18. 伊東理惠, アメリカに居住する日本人の屬皮樣式, 家展學硏究, 第39卷 2號, 1993
  19. 伊東理惠, アメリカに居住する日本人の洗灌樣式, 家展學硏究, 第40卷 2號, 1994
  20. City of Columbia, http://www.gocolumbiamo.com
  21. The Weatherbase, http://www.weatherbase.com
  22. U. S. Census Bureau, http://factfinder.census.gov/, Profile of Select-ed Housing Characteristic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