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of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tress of Middle-Aged Men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중년기 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 수준 변화

  • Published : 2009.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tress of meddle-aged men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As for the study objects, men at the ages between 40 and 50, residing in Seoul and mostly having temporary jobs, office jobs and professional jobs, were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 prepared, and 29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in total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12.0 was used for the processing of the data, while the results were deduced by using explorator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1-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ir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of the study object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became higher, their physical self-efficacy became higher as well. Secondly, the level of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of the study object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generally became higher, their depression showed lower levels. Thirdly, their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of the study object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stage had a lower level of stress than the maintenance stage while the before-plan stage had a lower level of stress than the before-plan stage and the maintenance stage. Fourthly,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became higher, their stress tended to decrease while their self-efficacy tended to increase.

본 연구는 중년기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40세부터 50세의 남성으로 일용직, 사무직,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89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1-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단계가 높아질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우울의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으로 운동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결과 준비단계가 유지단계보다, 계획전단계가 행동단계와 유지단계보다 낮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운동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결과, 2006.
  2. 강모성, 전영주, 손태홍, "기혼 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05-134, 2008.
  3. 김태현, 김양호, "중년남성의 남성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8권, 제1호, pp.99-120, 2003.
  4. 김성수,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 류현미, 기혼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련성, 성신여자심리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 정원길,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1.
  7. 김지현, 최희철, "남성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역할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2권, 제2호, pp.145-160, 2007.
  8. 송지준, 엄인숙,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 고독감간의 관계", 관광연구, 제23권, 제1호, pp.43-62, 2008.
  9. 이동현, 김승철, "중년여성의 여가 스포츠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제4호, pp.127-147, 2003.
  10. 이윤미, "자가 발반사 마사지가 중년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반응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 간호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79-188, 2006.
  11. 김영미, 현선희, 송형삼,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2권, 제4호, pp.33-46, 2008.
  12. 이용우, "성인의 스키.스노우보드 참여가 자기 효능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29권, 제1호, pp.183-194, 2005.
  13. 홍준희, "운동이 불안 및 우울의 관계고찰", 스포츠과학연구소논총, 국민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제25권, pp.101-111, 2007.
  14. 김준희, "중년여성의 생활체육 참여가 심리적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 12권, pp.57-63, 1998.
  15. 이규은, 최의순, "율동적 동작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43-53, 1999.
  16. 이윤미, "중년여성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운동 자기효능감, 우울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3호, pp.218-225, 2004.
  17. 오덕자, "댄스스포츠가 중년 직장 남성들의 신체 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9-51, 2006.
  18. B. H. Marcus and L. R. Simkin,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s,"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33, pp.83-88, 1993.
  19. R. K. Dishman, "Exercise adherence research: Future direction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3, pp.52-56, 1988. https://doi.org/10.4278/0890-1171-3.1.52
  20. J. O. Prochaska and W. F. Velicer,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 J Health Promot, Sep-Oct;12(1), pp.38-48, 1997. https://doi.org/10.4278/0890-1171-12.1.38
  21. P. M. Burkbank, C. A. Padula, and C. R. Nigg, "Changing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Journal Gerontol Nurs, 3, pp.26-33, 2000.
  22. 이은아, 정혜정. "청소년 자살에 대한 상담학적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3. 한경혜, 송지은,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제13권, 제1 호, pp.51-73, 2001.
  24. D. J. Levinson, C. N. Darrow, E. B. Klein, M. H. Levinson, and B. Mckee,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Knopf. 1978.
  25. J. O. Prochaska, and C. C. DiClemente,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1, No.3, pp.390-395, 1983. https://doi.org/10.1037/0022-006X.51.3.390
  26. B. H. Marcus, V. C. Selby, R. S. Niaura, and J. S. Rossi,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Vol.63, No.1, pp.60-66, 1992. https://doi.org/10.1080/02701367.1992.10607557
  27. 김영호,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의사결정균, 자기효능감: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19, 2002.
  28. 천경민, 표내숙, "청소년의 운동변화단계에 다른 기본적 심리욕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4권, pp.515-523, 2008.
  29. 김영호, "운동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계획된 행동이론과 단계적 변화모형의 통합: 종단적인 관점에서 통합적 모형의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 제25권, pp.287-294, 2005.
  30. R. M. Ryckman, M. A. Robbins, B. Thornton, and P. Cantrel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 pp.891-900, 1982. https://doi.org/10.1037/0022-3514.42.5.891
  31. 홍선옥, 표내숙, 수영운동이 신체적 자기 표능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7 권, 제1호, pp.127-152, 1996.
  32.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3. Cohen, S., Kamarch, T., &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al health Social Behavor, Vol.24, pp.585-596, 1983.
  34. 성창훈, 유루경, 장채욱,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 요인 및 운동행동변화단계별 차이",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5-133, 2008.
  35. 전영자, 김소인, 이평숙, 김순용, 이숙자, 박은숙, 장성옥, "노인운동의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354-365, 2000.
  36. 강현욱, 김지태, 권일권, "복지관 노인의 자기효 능감이 스포츠 여가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2권, 제3호, pp.231-239, 2008.
  37. 온채은, "노인의 운동정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1호, pp.319-331, 2007.
  38. 유은광, 김명희, 김태경,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행위와 갱년기 증상, 우울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2호, pp.225-237, 1999.
  39.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port of Surgeon General. Atlanta Georgi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DC,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1996.
  40. J. A. Clausen, "Men's occupational careers in the middle years," InD. H. Eichorn, J. A. Clausen, N. Haan, M. Hnonzik, & P. Mussen(Eds.), Present and past in middle life. New York: Academic Press, 1981.

Cited by

  1.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Commitment on Functiona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Mountaineering Apparels vol.12, pp.5, 2010, https://doi.org/10.5805/KSCI.2010.12.5.599
  2. Predictive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Goose daddies vol.24, pp.4,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4.428
  3.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vol.17, pp.2, 2014, https://doi.org/10.7587/kjrehn.2014.72
  4.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Family Stres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Couples: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vol.23, pp.2, 2014,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2.60
  5.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ed Mood and Life Style Patterns in Koreans Aged 40 Years vol.43, pp.5, 2014, https://doi.org/10.3746/jkfn.2014.43.5.772
  6. Influence of exercise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vol.13, pp.11,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