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심도 연약지반에 적용되는 PBD의 통수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ainage Capacity of PBD Installed in Deep Soft Ground

  • 변요셉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안병제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발행 : 2009.09.30

초록

연약지반은 해성점토, 실트질, 사질토 등과 같은 지반으로 항만, 공항,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축조시 지지력 부족 및 침하, 전단변형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연약지반의 조기 침하 및 강도증진을 위해 다양한 지반개량공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연약지반의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연직배수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연약지반에 적용될 PBD(Plastic Board Drain)공법에 대해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SD(Sand Drain)와 비교하여 복합통수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배수재의 최소통수능은 단일코아PBD의 경우 $400kN/m^2$이상에서 $10cm^3/sec$이상으로 측정되고 $500kN/m^2$이상에서 $5cm^3/sec$이하로 측정되며, 이중코아PBD의 경우 $500kN/m^2$이상에서 $10cm^3/sec$이상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500kN/m^2$이상에서 SD의 최소통수능은 $0.4cm^3/sec$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중코아 PBD를 사용하는 것이 대심도 연약지반개량을 위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roblems of bearing capacity, settlement and shear deformation occur when constructing a structure such as harbor, airport and bridge on soft ground of marine clay, silty clay or sandy soil. Various ground improvement methods are applied to obtain preceding settlement of soft ground and strength increase.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PBD method in deep soft ground, the compound drainage capacity test was operated in comparison with SD. As a result of the test, a minimum drainage capacity of drain material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10\;cm^3/sec$ at a more than $400\;kN/m^2$ and less than $5\;cm^3/sec$ at a more than $500\;kN/m^2$ confining pressure in case of single core PBD. In case of double core PBD, it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10\;cm^3/sec$ at a more than $500\;kN/m^2$ confining press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수 (1998), "영향인자를 고려한 연직배수재기술의 개발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pp.15-19
  2. 박영목 (1996), "국내 PBD재의 배수성능과 진공효과에 의한 통수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39-52
  3. 박만규 (2003), 연직배수재의 통수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pp.1-57
  4. 신은철, 박정준, 김종인 (2005),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폐석회 슬러지의 지반개량 효과",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6권, 제2호, pp.51-60
  5. 유승경 (2003), "PBD에 의해 개량된 연약점토지반의 압밀거동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3권, 제6C호 pp.399-406
  6. 유남재, 김동건, 박병수, 전상현 (2008),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의 개발과 적용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5C호, pp.313-320
  7. 장용채, 김주한, 이진수 (2004),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연직 배수재의 타설범위에 따른 개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5-12
  8. ASTM D 4716-01 (2001), "Test method for determinig the (in plane) flow rate per unit width and hydraulic transmissivity of of geosynthetic using a costant head",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Vol. 04.09-(II), pp.1054-1062
  9. Holtz, R.D., Jamiolkowisk, M., Lancellotte, R., and Pedroni, S (1991), "Holtz, R.D., Jamiolkowisk, M., Lancellotte, R., and Pedroni, S ", GEOCOAST '91 ICGED, Yokohama, pp.311-316
  10. Kjellman, W. (1948),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Drain Wells", Trans, ASCE, No.113, pp.748-751
  11. Koemer, C.M. and Lawrence, C.A. (1988), "Flow behavior of kinked strip drains", Proc. of ASCE Symposium on Geosynthetics for soil Improvement, Nashvile, Tenn., Geotechinicak Special Publication No.18, pp.22-35
  12. Oosstveen, J.P. and Troost, G.H. (1990), "Dicharge index tests on vertical drains", Geotextiles, Geomembranes and Related Products, pp.345-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