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DBMS의 3차원 Primitive를 이용한 공간정보데이터 구축 및 활용 - CityGML을 기반으로 -

Modeling Spatial Data in a geo-DBMS using 3D Primitives

  • 박인혜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이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발행 : 2009.09.30

초록

최근 3차원 실내 외 공간정보데이터 모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된 3차원 공간데이터는 양이 방대하고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관리, 응용하기 위해서는 DBMS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Gep-DBMS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응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Oosterom, Arens 등이 3차원 건물, 지표의 Geometry와 Topology를 DBMS에 저장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GML3 기반의 3차원 도시 모델의 저장 및 교환을 위한 포맷인 CityGML 1.0을 따르는 구조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으며, 상용 DBMS인 Oracle Spatial 11g를 사용하였다.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3D Indoor/Outdoor Spatial Data Models. The 3D data created based on these data models have complex data structures. In order to manage these data efficiently, it is better to use a DBM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to maintain the 3D data in Geo-DBMS, such that Oosterom (2002) and Arens (2005) developed a method to store 3D Building model, geometric and topological data of coverage in DBMSa.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store the CityGML data into the RDBMS, Oracle Spatial 11g.

키워드

참고문헌

  1. C. Arens, J. Stoter and P. van Oosterom, "Modelling 3D spatial objects in a geo-DBMS using a 3D primitive", Calin Arens, Jaintien Stoter, Peter van Oosterom, Computer & Geosciences 31 (2005) pp.165-177. https://doi.org/10.1016/j.cageo.2004.05.013
  2. P. van Oosterom, J. Stoter, W. Quak and S. Zlatanova, "The Balance Between Geometry and Topology".
  3. G. Groger, T. H. Kolbe, A. Czerwinski and C. Nagel, "OpenGIS CityGML Encoding Standard", 2008.
  4. 김훈, 홍의경,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XML 문서 저장 모델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가을학술발표 논문집(I), 제 27권 2호, 2000.
  5. http://www.citygml.org/1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