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미국의 방제체제 분석과 국내의 방제정책 방안

Analysis on Response System in US for Chemicals Driven Marine Pollution Accidents and Korean Response Policy Plan

  • 발행 : 2009.09.30

초록

2007년 6월 14일, OPRC-HNS 의정서의 발효로 해양에서 대형 위험 유해물질(HNS) 오염사고발생시 범국가적 차원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고대응체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화학물질에 대한 긴급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미국에서의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재난관리 사고대응체제 등 국가방제체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국가방제체제에는 단일화된 신고 접수체계와 통합된 사고지휘시스템을 운용하고, 재난대응기관간 원활한 협력을 위한 공동책임제 등의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제작업은 중소사고의 경우 정부관리 아래서 민간주도로 이루어지나 대규모 사고 등 재난적 규모가 예상되거나 발생시에는 정부 주도로 대응하며 이에 대한 경비는 별도 기금(Superfund)으로 운용 보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관련법 정비를 통해 육상 사고기관과의 장비, 인력 및 기술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방제조치의 민간참여 활성화 및 방제지휘체계의 일원화 등을 제시하였다.

With an entry into force of OPRC-HNS on June 14th 2007, response system against any large scale accidents related to HNS is required to respond rapidly and effectively in a national scale, US national response system and national contingency plan for any chemicals in operation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system and response system for any HNS driven accidents in the U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US system were well described as an unified information window and an integrated incident command system supported by response facilities, manpower and technical support from other response organizations through good cooperation. In general, response activities are conducted by private sectors, however, the government will take over response activities in case large scale accidents occur in the Us. Expected expenses for response activities are covered by a type of Superfund in the Us. Several applicable ways are proposed to enable NGO to participate in and reorganize response system in ROK, and are feasible in collaboration with other response organizations and private sectors in the aspects of equipment, technology and manpower, Based upon the above activities, it is desirable to reorganize domestic rules and/or regulations related to response measures in ROK.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종해(2002), 해상위험유해물질 위험관리제도에 관한 연구-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37-64.
  2. 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2003), 위험.유해물질(HNS)관리기구 설치 방안개발, 해양수산부, pp. 20-25.
  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6), OPRC-HNS 의정서 가입효과 분석, 해양경찰청, pp. 1-78.
  4. 한국해양연구원(2004), 국가재난적 대형오염사고 대비.대응 방안 연구, 해양경찰청, pp. 49-53.
  5. 한국해양연구원(2006), HNS 국가방제체제 구축방안 연구, 해양경찰청, pp. 1-43-51.
  6. Australian Maritime Safety Authority(2005), National Marine Chemical Spill Contingency Plan(Chemplan).
  7. IMO(2000), OPRC-HNS PROTOCOL ; Protocol on Preparedness, Response and Co-operation to Pollution Incidents by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2000.
  8.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2004), National Response Plan, pp.1-14 and ESF #10-1-14.
  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2001), National Oil and Hazardous Substances Pollution Contingency Plan, 40 CFR Part 300, pp.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