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pike Motion in Male Professional Volleyball foreigner Players

남자 프로배구 용병선수들의 스파이크 동작 분석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scientific training of spikes and instruction, by analyzing all kinematical variants including time, distance, velocity, angle factors in spike movements of volleyball matches. The subjects were 4 foreigner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V-League of 2008-2009.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Time for a jumping step was .33s, and Angelko had a bit longer takeoff time than other players. In Angelko and Anderson who were leading in attack power, the whole distance of a spike motion was relatively short, less than 4m. The moment when the center of gravity reached the lowest point was when the right foot bearing weight in the jumping step was passing the left foot, and the highest point of gravity was 2.30m, which appeared just before the impact. The horizontal speed of the center of the gravity was highest as 4.19m/s at the beginning of a jumping step, and lowest at the stance phase of the fore foot just before takeoff. The vertical speed of the center of the gravity was lowest after the right foot touched the ground, and highest after the takeoff of the fore foot. Impact was 3.22m, and the highest ball speed was 28.18m/s.

본 연구의 목적은 배구경기의 스파이크 동작에서 시간, 거리, 속도, 각도요인 등 제반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하여 스파이크의 과학적 훈련이나 지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2008-2009 V-리그에 출전한 남자 용병선수 4명이다. 두 대의 고속비디오카메라를 사용했으며 3차원 동작분석 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도약스텝의 소요시간은 .33초였으며, 안젤코 선수는 다른 선수들보다 발구름 시간을 조금 더 길게했다. 현재 공격력에서 더 상위에 있는 안젤코와 앤더슨은 전체 스파이크 동작구간의 거리를 4m 이내로 비교적 짧게 했다. 신체중심이 최저에 이른 순간은 도약스텝에서 지지하고 있는 오른발을 왼발이 통과하는 시점이었으며, 신체중심의 최대 높이는 2.30m로 임팩트 직전에 나타났다. 신체중심의 수평속도는 도약스텝의 초반부에 4.19m/s로 가장 높았으며, 도약 직전 앞발의 지지기에 최저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중심의 수직속도는 도약구간에 오른발의 접지 후 최저치에 이르렀으며, 앞발의 이지 후 최대 속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점은 3.22m, 볼속도는 최대 28.18m/s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학(2004). 배구 스파이크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3), 769-777.
  2. 금명숙(1997). 여자 배구 스파이크시 목적타의 거리가 신체 분절의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3. 김철휘(1987). 배구 경기의 오픈 스파이크 동작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4. 마건일, 이환세(1977). 배구 Straight spike의 동작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과학연구소 논집, 14(1), 7-18.
  5. 박홍균, 김승권(1995). 배구 스파이크의 도움닫기와 발구름 동작이 도약높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4(3), 339-353.
  6. 이기선(1985). 배구 스파이크시 반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7. 이진택, 윤희중, 류재균(2002). 남자 높이뛰기 마지막 3보와 발구름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1(4), 591-599.
  8. 정철수, 신인식, 곽창수, 최규정(1990). 배구 스파이크의 팔동작에 대한 3차원적 분석. 체육과학논총, 1(1), 113-155.
  9. 주명덕, 곽창수(1987). 배구 스파이크 점프에 대한 운동 역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논집, 8(1), 53-60.
  10. Chung, C. S.(1988).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shoulder and elbow joints during the volleyball spi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11. Coleman, S. G. S., Benham, A. H., & Northcott, S. R. (1993). A three-dimensional cinematographical analysis of the volleyball spike. Journal of Sports Science, 11, 295-302. https://doi.org/10.1080/02640419308729999
  12. Coutts K. D.(1982). Kinetic differences of two volleyball jumping techniqu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4(1), 57-59. https://doi.org/10.1249/00005768-198201000-00011
  13. Davila, M. G., Espa, A. U., & Hermoso, V. S.(1994).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hit in the volleyball spike. Journal of Human Studies, 1994(26), 35-49.
  14. Katsikadelli, A.(1996). A comparative study of the attack serve in high-level volleyball tournaments. Journal of Human Movement Studies, 30, 259-267.
  15. Oka, H., Okamoto, T., & Kumamoto, M.(1976). Electromyographic and cinematographic study of the volleyball spike. Biomechanics V-B, 326-331.
  16. Samson, J., & Roy, B.(1976).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volleyball spike. Biomechanics V-B, 332-336.
  17. Wan& H. K., & Cochrane T.(2001). Mobility impairment, muscle imbalance, muscle weakness, scapular asymmetry and shoulder injury in elite volleyball athletes.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41(2), 403-410.
  18. Wan& H. K., Juang, L. G., Lin, J. J., Wang, T. G., & Jan, M. H.(2004). Isokinetic performance and shoulder mobility in Taiwanese elite junior volleyball players. lsokinetics and Exercise Science, 12(4), 35-141.
  19. Wielki, C. & Dangre, M.(1985). Analysis of jump during the spike of volleyball. Biomechanics IX-B, 438-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