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ve Analysis of Preference and Uses for the Angelica gigas Nakai - Focused on the consumer in the Seoul and Kyunggido Area -

당귀에 대한 기호도 및 이용 실태 조사 - 서울, 경기 지역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

  • Kim, Myung-Sun (Dept. of Tourism Hotel Cuisine, Kangwon Tourism College) ;
  • Oh, Yun-Jae (Dept. of Food & Nutrition, Anyang Technical College)
  • 김명선 (강원관광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 오윤재 (안양과학대학 식품영양과)
  • Received : 2009.08.18
  • Accepted : 2009.10.19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uses of Angelica gigas Nakai. A survey methodology was employed consisted of 37.8% males and 62.2% females from the Seoul and Kyunggido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older generation have liked and eaten Angelica gigas Nakai rather than the young. The most popular reason provided for the preference of Angelica gigas Nakai was good health benefits. People indicating a dislike for Angelica gigas Nakai had little previous experience of eating this plant. The purchasing main place is appeared the supermarket and traditional market. Angelica gigas Nakai was acknowledged as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o do excellent nutrition' (3.82), 'natural food' (3.76), 'to doing for the anti-cancer and anti-oxidization' (3.70), 'good for anemia and women, diseases' (3.64), and 'good for anodyne and diuretic effect' (3.57), but was not associated with 'price is cheap' (3.02) and 'to difficult for buy' (3.10). Recognition and eating experience was low for Angelica gigas Nakai kimchi and rice bread, bread, sauce and healthy drink added with Angelica gigas Nakai, but the opinion of the taste appeared highly.

본 연구는 당귀 가공 식품의 생산에 대한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0대 이상 연령층 720명을 대상으로 당귀에 대한 기호도와 이용 실태, 당귀 첨가 식품들에 대한 이용 실태, 시식 경험 및 섭취 의향 등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는 남성이 37.8%, 여성이 62.2%였으며, 연령은 20대(24.7%), 10대(22.2%), 30대(20.6%), 40대(18.9%), 50대 이상(13.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학생(38.3%)이, 학력은 전문대 혹은 대학 졸업(45.6%)이, 한달 수입은 '100~200만원 이하'(21.1%)가 가장 많았다. 2. 조사 대상자가 스스로 판단한 건강 상태는 '건강하다'가 45.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보통이다'가 24.7%, '매우 건강하다'가 23.3%로서 조사 대상자들의 68.6%가 자신을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음식이나 식품을 섭취할 때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있다는 응답자는 85.6%였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관심이 많았다(p<0.001). 3. 당귀를 좋아 하는 정도가 '보통이다'가 전체 응답자의 49.7%로 가장 많았고, 당귀를 좋아 하는 이유는 '건강에 좋아서'가 74.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향기가 좋아서'가 16.7%, '맛이 좋아서'가 7.6%, '평소에 자주 접해서'가 1.5%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당귀를 싫어 하는 이유는 '평소에 자주 접하지 않아서'가 4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맛이 좋지 않아서'가 23.6%, '향기가 너무 강해서'가 1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당귀의 구입 장소는 시장이 30.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수퍼마켓이 26.3%, 기타가 22.2%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대, 20대, 50대 이상에서는 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는 수퍼마켓이, 40대는 시장과 수퍼마켓에서 당귀를 많이 구입하였다(p<0.001). 당귀의 섭취 빈도는 '먹지 않는다'가 60.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1년에 1~2회'가 18.8%, '3개월에 1회'가 1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대~40대에서 '먹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50대 이상에서는 '1년에 1~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5. 전체적인 인지도는 5점 만점에 3.49점이었고, 10대(3.62점)와 20대(3.51점)가 30대(3.45점), 40대(3.47점), 50대 이상(3.31점)보다 당귀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다(p<0.01). 각 문항 중 인지가 높은 항목은 당귀가 '영양이 우수한 건강 식품이다'가 3.82점으로 장 높았고, 그 다음은 '자연 식품이다'가 3.76점, '항암, 항균, 항산화 작용을 한다'가 3.70점, '빈혈과 부인병에 좋다'가 3.64점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가장 낮게 인지한 항목은 모든 연령대에서 '가격이 싸다'와 '구입하기 어렵다'의 항목이었다. 따라서 당귀는 다른 식품보다는 흔하지 않은 것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6. 당귀 첨가 김치류, 당귀 첨가 떡류, 당귀 첨가 빵류, 당귀 첨가 소스류, 당귀 첨가 건강 음료에 대해서 인지와 시식 경험은 낮았으나, 앞으로의 섭취할 의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당귀는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더 많이 좋아 하는 식품으로 나타났으며, 젊은 연령층은 자주 먹을 기회가 없는 생소한 식품으로 느끼는 사람이 많으므로 기성세대들은 가정에서라도 당귀를 데쳐서 무침이라든가 쌈으로 이용해서 식탁에 반찬으로 자주 올리고 어느 음식에 당귀가 들어가고, 영양학적 가치와 효능이 있는지 자라는 아이들에게 많은 것을 보여주고 교육시키면 당귀가 널리 사랑받을 수 있는 대중식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당귀의향과 맛을 현대인의 기호에 맞춘 다양한 종류의 메뉴 개발로 음식을 폭넓게 개발한다면 다양한 연령층에서 섭취할 것이라 생각된다. 당귀 첨가 김치, 당귀 첨가 빵류, 당귀 첨가 떡류, 당귀 첨가 소스류, 당귀 첨가 건강 음료에 대해서도 인지도와 시식 경험은 낮았으나, 섭취할 의향에 대해서는 높게 나타나서 영양적으로 우수한 당귀를 이용한 다양한 조리 방법과 가공식품의 연구 개발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어 앞으로 계속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재용 (2005) 약이 되고 궁합 맞는 음식동의보감. 학원사.
  2. Cho EJ (2000)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59-68.
  3. Choi EJ, Kim HS (2006) Acceptance of hondonbyung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leaf and root of angelicae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88-95.
  4. Choi SH, Kim HJ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13-518.
  5. Hong WS, Lee JS, Kim EJ, Choi YS (2006) A study on the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codonopsis lanceolata by housewi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447-457.
  6. Huh JD, Kim YJ (1984) Study on ingredient of organic acid ester in Angelicae gigantis Radix. J Korean Pharm Sci 14: 70-75.
  7. Hwang JB, Yang MO (1997)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Korean J Food Sci Technol 9:1113-1118.
  8. Kim DY (2004)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Angelica gigas Nakai.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p 1-3.
  9. Kim HS, Joung SW (2006)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57-965.
  10. Kim MS, Oh OH (2008) An investigativ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uses for the Codonopsis lanceolata in Seoul and Kyunggido a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 27-35.
  11. Lee KA, Jang YA, Kim WK (1993)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 knowledge and opin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 I. The knowledge and consump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1: 187-195.
  12. Lee SR, Kim GH (2001)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snack, Dasik using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421-425.
  13. Lee WJ, Yoon JR, Kim EK, Ahn KT (2000)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ntis Radix of Jin Bu area. Journal of East Coastal Research 11: 13-22.
  14. Noh BS, Oh SY, Kim SJ (2003) Pattern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domestic and imported Angelica gigas Nakai using GC based on SAW senso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44-148.
  15.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 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6. Park HR, Yu YB, Yee ST, Jo SK (1998)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by water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J Life Resources & Industry 3: 8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