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Leaf Dasik Prpared with Various Sweeteners

당의 종류를 달리한 연잎 다식의 품질 특성

  • Yang, Mi-Ok (Dept. of Oriental Medicine & Healthcare, Wonkwang Digital University)
  • 양미옥 (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건강학과)
  • Received : 2009.06.09
  • Accepted : 2009.06.18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leaf Dasik prepared with various sweeteners, including honey (HON), starch syrup (SS), isomaltooligosaccharide(IMOS), galactooligosaccharide (GOS), and fructooligosaccharide (FOS). The moisture contents of samples were highest in GOS. L-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N group. Whereas a- and b-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mechanical characteristics, hard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HON while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in SS; however,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lotus leaf Dasik containing FOS received the highest preference scores.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연잎가루를 우리나라 전통 다식인 진말다식 제조 시에 볶은 밀가루와 함께 넣고, 여기에 꿀, 물엿,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등 당의 종류를 달리하여 넣은 다음 다식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잎 다식의 수분 함량은 갈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다식이 가장 높았으며, 꿀 첨가 시료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연잎 다식의 색도에서는 L값은 꿀을 첨가한 다식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a값, b값은 각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잎 다식의 물성에서는 견고성은 꿀을 첨가한 다식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부착성과 탄력성은 각 시료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물엿을 첨가한 다식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연잎 다식의 정량적 묘사 분석에서 색과 맛은 꿀을 첨가한 다식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강도로 평가되었고, 씹힘성은 물엿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드러움의 정도는 꿀을 첨가한 다식이 유의적으로 가장 부드럽다고 평가되었다. 연잎 다식의 기호도 검사에서는 단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연잎 다식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희, 조후종, 이춘자, 이효지, 조신호, 김혜영, 김종태 (2000) 한국음식대관 3. 한림출판사, 서울. pp 293-389.
  2. 공재열 (2007) 올리고당의 신지식. 예림미디어, 서울. pp 22-41.
  3. 김우정, 구경형 (2001)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서울. pp 95-119.
  4. 노완섭, 허석현 (2000)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식품. 효일출판사, 서울. pp 346-350.
  5. 농촌생활연구소 (2001) 식품성분표(I). 농촌진흥청, 수원. pp 68.
  6. 빙허각 이씨(1809) 정양완 역 (1975) 규합총서. 보진재.
  7. 송문섭, 이영조, 조신섭, 김병청 (1989) SAS를 이용한 통계 자료 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pp 61-84.
  8. 안동 장씨(1670) 황혜성 편(1985) 음식디미방. 한국인서출판사.
  9. 육창수 (1989) 한국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219-230.
  10. 이철호, 채수규, 이진근, 고경희, 손혜숙 (1999) 식품평가 및 품질관리론. 유림문화사, 서울. pp 65-178.
  11. 이철호, 채수규, 이진근, 박봉상 (1982) 식품공업품질관리론. 유림문화사, 서울. pp 80-84.
  12. 장학길, 박영서, 이경혜 (2007) 식품소재학. 신광출판사, 서울. pp 366.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義天 大覺國師文集 龍頭寺 祐詳大師 祭文.
  14. Cho EJ, Hwang JH, Moon JS (2003) Physical characteristic of pine pollen Dasik containing oligosaccharide. Sungshin Women's University Life Culture Research 17: 105-122.
  15. Chung ES, An SH (2002) Acceptabi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Dasik according to the kinds of su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10-217.
  16. Joung SE, Cho SH, Lee HG (1997)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method on the quality of soybean Dasik. Korean J Soc Food Sci 13: 356-363.
  17. Jung EJ, Woo KJ (2005)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by addition of chitosan-oligosaccharid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300-305.
  18. Kim DC, Kim DW, In MJ (2006) Preparation of loctu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63-164.
  19. Kim HS, Chung HH, Lee YS, Kim HY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oligosaccharide. Korean J Food Culture 22: 615-620.
  20.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 55-69.
  21.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al and the culinary characteristic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 395-402.
  22. Minolta (1994) Spectrophotometer CM-3500d communication manual. Minolta Co., Ltd. Japan.
  23. Park JH, Woo SI (1997) Study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n the kind, amount of sugar and number of kneading by processing method of soybean Dasik. Korean J Soc Food Sci 13: 1-6.
  24. Yoon SJ, Noh KS (2009) The effect of lotus leaf powder on the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