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and its Spatial utilization as a Government office of the Nambyeol-gung(南別宮)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 남별궁(南別宮)의 공해적(公廨的) 역할과 그 공간 활용) - 장서각 소장 "소공동홍고양가도형"."사대부가배치도형"의 분석을 통하여 -

  • 정정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No.87 Sogong-dong where is the Chosun hotel stand. There was the Nambeol-gung(south ern royal villa) which had been a reception hall for enboys of the toadied country before Hwangudan圜丘壇 being set up in the year 1897. The site of the Nambeol-gung was Gyeongjeong慶貞 princess's a lot for house in the early 15th century. But after princess's death, it occurred property dispute between her son and four daughters. As a result of the dispute, a lot and a house of all the princess's properties reverted to the government. At reverted this lot was established a big royal villa in the year 1583 and that royal villa was granted to Uian prince. The villa reverted to the government again when the Uian義安 prince was dead in 12 years old by an epidemic. After the Imjin Invasion壬辰倭亂, another houses and buildings got to be role as a palace because of all the palace in the capital was burnt down to ashes. Among others Nambeol-gung was brought into play as the royal audience chamber. As well as, the villa became brought out role as a reception hall for enboys of the toadied country instead of a damaged reception hall the Taepyong-gwan太平館. In period when the envoy didn't come, the Nambeol-gung was used to extraordinary office of government like Dogam都監. This situation is to mean that the Nambeol-gung is not the royal villa any more. Because of the Nambeol-gung was built as a royal villa, that spaces were composited like space of house and palace. But this spatial composition and spatial name were not fit to hold a ceremony of government office. After all, Nambeol-gung was used change only the spatial name conform to ceremony of office keep up the spatial composition.

Keywords

References

  1. 소공동홍고양가도형(S12-06-4457), 장서각소장.
  2. 사대부가배치도형(S12-07-4181), 장서각소장.
  3. 承政院日記
  4. 日省錄
  5. 經國大典
  6. 國朝五禮儀
  7. 朝鮮王朝實錄
  8. 備邊司謄錄
  9. 通文館志
  10. 硏經齋全集外集
  11. 王子義安君諡狀
  12. 陣內六助 著, 京城府管內地籍目錄, 京城共同株式會社, 京城, 昭和2年(1927).
  13. 川合新一郞 編, 京城府壹筆每地形明細書, 朝鮮都市地形圖刊行會, 京城, 昭和4년(1929).
  14. 白寬洙 著, 京城便覽, 弘文社, 京城, 昭和4년(1929).
  15. 1914년 제작 서울 지적원도 (정부기록보존소 소장, 경기대 이상구 재작도)
  16. 서울歷史博物館 編, 서울지도,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 서울, 2006.
  17. 이 찬, 서울의 옛 地圖, 서울시립대 부설서울학연구소, 서울, 1995.
  18. 허영환, 정도600년 서울지도, 범우사, 서울, 1994.
  19.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編, 近代建築圖面集, 韓國學中央硏究院, 성남, 2009.
  20. 남산도서관 80년사 편찬위원회 편저, 남산도서관 80년사-1922-2002, 남산도서관, 서울, 2002.
  21. 국제관광공사, 조선호텔 처리지, 1967.
  22. 서울특별시 중구청, 환구단 정비기본계획, 서울, 2007.
  23. 경기문화재단 편,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수원, 2007.
  24. 國立文化財硏究所, 北闕圖形, 國立文化財硏究所, 대전, 2006.
  25. 권영상, 조선후기 한성부 도시공간의 구조,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3.
  26.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출판부, 서울, 1999.
  27.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技文堂, 서울, 2000.
  28. 김득수․한동수․김영재,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7. 9.
  29. 김봉렬, 17세기 戰亂後 再建事業, 건축, 대한건축학회, 32권 2호 통권159호, 1991. 3.
  30. 김성도, 안국동별궁 조사 후기,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50권 제4호, 2006.
  31. 김성철, 임진왜란 한성 방화사건을 통해 고찰한 정치적 압제와 저항, 동국사학, 2004.
  32. 김흥순, 조선 전기 도시 토지이용 정책의 가치, 국토계획, 제44권 제2호 통권 169호, 2009.
  33. 서동천․한동수, 조선시대 太平館과 東平館의 특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10.
  34. 이혜원, 고려대 박물관소장 경복궁배치도의 제작시기와 사료적가치에 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7권 4호, 2008.
  35. 이호열, 조선전기 주택사 연구,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1991.
  36. 정은주, 阿克敦 奉使圖 硏究, 美術史學硏究 제246.247호, 한국미술사학회, 2005. 9.
  37. 정정남, 인사동 194번지의 都市的 變化와 18세기 漢城府 具允鈺 家屋에 관한 연구-장서각소장 里門內具允鈺家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건축역연구, 2008. 6.
  38. 정정남, 장용영의 한성부내 입지와 영사의 건축적 특성-本營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藏書閣 제21집, 2009.
  39. 조영준, 조선후기 궁방(宮房)의 실체, 정신문화연구 제31권 제3호 (통권 112호), 2008. 9.
  40. 조은주․송인호, 도성 안 현존 조선별궁의 변화에 관한 조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5.
  41. 조재모, 영․정조대 국가의례 재정비와 궁궐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1권 제12호, 2005. 12.
  42. 주남철 외 6인, 壬辰倭亂 以後의 造營活動에 對한 硏究, 한국문화재보존기술진흥협회, 1992.
  43. 지두환, 선조대왕과 친인척 후궁, 역사문화, 서울, 2008.
  44. 지두환, 태종대왕과 친인척 왕비, 역사문화, 서울, 2008.
  45. 차인배, 임진왜란기 도성 내 포도청의 치안 활동, 史軒 林英正 교수 정년 기념논총, 동국사학회, 2004.
  4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의 역사와 자료적 성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성남, 1996.
  47.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8.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9.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검색시스템.
  50. 규장각 승정원일기, 일성록 검색시스템.
  51. 한국고전번역원 검색시스템.
  52. 阿克敦 著, 黃有福․千和淑 校註 , 奉使圖, 遼寧民族出版社, 심양,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