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 Holocene Environment and Vegetation Change of Eurimji Reservoir, Jecheon, Korea

홀로세말 의림지 호소환경과 식생변천 고찰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AMS radiocarbon dates indicated that Eurimji reservoir, located at J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has been formed during the late Holocene Epoch. The sedimentary sequence at bottom reveals histories in hydrology, climate conditions and past vegetation dynamics. Ages controlled sedimentological and palynological analyses on ER 3-1 Core contribute to reconstruct paleoclimate and past hydrological conditions. These analyses suggest that lower interval (307.5m~309.5m elevations) of the ER 3-1 Core was deposited in stable from 1,920 yrBP to 1,420 yrBP, but upper layer sediment above these elevations was composed of reworked sediments during the pre and post 2,000 yrBP. Pollen assemblage indicates that watershed vegetation of the Eurimji reservoir, during the period of 1,920 yrBP~1,420 yrBP, was closely comparable to modern vegetation dominated Pinus and Quercus mixed vegetation. Also, riparian including Alnus, Fraxinus and Salix were inhabited along the banks of stream, and aquatics such as Typha, Nymphaea and Persicaria flourished at shore of the reservoir. According to cultural chronicle, it infers that the Eurimji reservoir was form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or the beginning of ancient society. An integrated data suggested that Quercus-Pinus-Abies mixed forest flourished under cool and dry climate conditions during 3,200 yrBP~200 yrBP.

제천 의림지는 홀로세말에 형성된 호소로서 중부 내륙지역의 수문, 기후 및 식생변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퇴적체를 포함하고 있다. 의림지 호소 퇴적체 중 ER3-1호공에서 AMS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 자료를 수반한 퇴적상과 화분군집산출상을 검토하여 고기후와 수문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ER3-1호공의 고도 307.5m~309.5m 구간은 약 1,920 yrBP~1,420 yrBP 기간에 안정한 퇴적체를 보이며, 이 상부에는 과거 약 2000년 전 후에 재동된 퇴적물이 분포한다. 본 시추공의 화분군집산출을 보면 목본화분으로 소나무속, 참나무속이 우점한 것으로 보아 현존식생과 거의 유사한 식생환경으로 추론된다. 전반적으로 천변에는 오리나무속, 물푸레나무속, 버드나무속과 같은 호습윤성 교목이 생장했으며, 호안에는 부들, 수련, 고마리 등 수서식물이 생육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문화편년으로 볼 때 의림지는 청동기~철기시대 및 고대사회 초기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의림지 입지환경과 호저 퇴적체에서 나타나는 양상은 약 3,200 yrBP~200 yrBP 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서늘하고 건조한 시기(Cool and dry period)가 우세한 환경 하에서 참나무속-소나무속-전나무속을 우점으로 하는 식생군락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