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류조직 보존 술기를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수술 술기 -

ACL Reconstruction with Remnant Preserving Technique - Technical Note -

  • 조성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염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지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전형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Cho, Sung-D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Youm, Yoo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Jeong, Ji-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Jeon, Hyung-M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9.02.28

초록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잔류조직 보존은 이식건 치유를 향상시키고 고유수용 감각 기능을 보존할 수 있어 저자들은 10시 혹은 2시 방향 경경골 대퇴 터널을 천공하고 잔류조직을 보존하는 술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잔류조직은 가능한 많이 보존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에서 경골 부착부위 전방부와 후방 십자 인대와 연결된 활액막 및 잔류조직은 반드시 보존하여 잔류조직의 장력을 어느정도 유지하고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과간 절흔의 충돌을 방지 하였다. 경골 drill guide의 각도를 40~45도로 하고 관절 내 guide tip을 고식적인 위치보다 1 mm씩 전방 및 내측으로 이동하였다. 경골에서 유도 강선의 시작점은 거위발 건의 근위부, 내측 측부 인대의 전방부로 하였다. 경골 터널은 먼저 이식건의 두께보다 1 mm 작은 확공기를 이용하여 만들되, 경골 관절면의 피질골에 닿으면 조심스럽게 진행하여 피질골을 뚫자마자 멈춤으로써 가능한 잔류조직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다시 이식물과 같은 크기의 확공기를 이용하여 경골 터널과 10시 혹은 2시 방향의 대퇴 터널을 완성하였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10시 혹은 2시 방향 경경골 대퇴 터널을 천공하고 잔류조직을 보존하는 술기를 소개하였다.

Purpose: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preservation of the remnant original tissue might promote graft healing and be helpful in proprioception. But this procedure is difficult and causes the notch impingement. So we introduce a surgical technique that makes a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with preservation of remnant tissue. Surgical approach: We tried to preserve the remnant tissue and synovium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those of tibial attachment and extending to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o as to have some tension and to prevent notch impingement. We set the tibial drill guide at 40~45 degrees and the intra-articular guide tip was 1 mm anterior and medial to the conventional site. The starting point of tibial guide pin was proximal to the pes anserinus and anterior to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When the reamer approached the cortical bone of the tibial articular surface, the reamer must be advanced very carefully to minimize injury to the remnant tissue. The tibial and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were made with the reamer, the diameter of which was same with that of the graft. Conclusion: We report a remnant preserving technique in ACL reconstruction that makes a transtibial femoral tunnel at 10 or 2 o'clock posi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