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asubstance Complete Rotator Cuff Tear with more than 1 cm of Remnant Attached to the Greater Tuberosity: 2 Case Reports

대결절에 1 cm 이상의 잔여 건이 부착된 회전근 개 실질 내 완전 파열 - 2례 보고 -

  • Cho, Su-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Lee, Choon-Key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Cho, Hyung-La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Hwang, Tae-Hy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eongju St. Mary's Hospital) ;
  • Wang, Tae-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조수현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이춘기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조형래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황태혁 (청주성모병원 정형외과) ;
  • 왕태현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In patients with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the tendon is usually detached from its bony insertion in the greater or lesser tuberosity. We experienced an unusual pattern of rotator cuff tear in two cases, in which complete rotator cuff tears occurred at the tendinous portion (i.e., intrasubstance tears) with more than a 1cm remnant attached to the greater tuberosity. Arthroscopic tendon-totendon repair was performed without remnant removal in both cases. Follow-up MRI at 6 months showed re-tear of the rotator cuff at the previous tear site in both of our patients. To prove the availability of arthroscopic tendon-to-tendon repair in such cases, a larger case follw-up and biomechanical studies are required.

회전근 개의 전층 파열에서 건은 대결절 또는 소결절의 골 부착부에서 주로 분리된다. 저자들은 상완골 대결절에 1cm 이상의 잔여부가 부착된 회전근 개 건실질 부위에서 발생한 완전 파열을 가진 드문 2예의 회전근 개 파열을 경험하였다. 두 예에서 모두 잔여건을 제거하지 않고 관절경적 건 대 건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나 술 후 6개월에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이전 파열 부위에서 회전근 개의 재파열을 보였다. 회전근 개 건실질부 파열에서의 건 대 건 봉합술의 유용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증례 검토와 생역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