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of Arthroscopic-assisted Minimally Invasive Removal of a Lateral Periarticular Plate used for the Treatment of AO Type-C Distal Femoral Fractures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 삽입된 관외측 금속판의 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제거의 결과

  • Kim, Young-M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June-Kyu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ang, Jae-Ho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Bo-K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Won-Gu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Veterans Hospital)
  • 김영모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준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양재훈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보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원구 (광주보훈병원)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y-assisted plate removal of a laterally inserted periarticular distal femur plate used for the treatment of AO type-C distal femu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2 to November 2005, we evaluated 17 patients whose plates were removed through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y-assisted plate-removal technique and 15 patients who got their plates removed through conventional method without using arthroscopy, 32 patients in total. All these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initially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distal femoral fractures with a lateral plate, and complained of continued pain over the lateral femoral condyle after the fracture fixation. The average age was 42.6 (ranges: 20~66) and initial fracture types included 16 cases of C1, 11 cases of C2, and 5 cases of C3 following AO/ASIF classification guidelines. Measured outcomes included: associated intra-articular pathologies, time needed to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complications following the removal of hardware, and pain before and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distal-most end of the plate was placed in the knee joint in all cases and damage of the lateral articular capsule was found in 23 cases. Continuous wound discharge after surgery was found in one case who underwent arthroscopy-assisted plate removal, and it was treated by irrigation and re-suture. Average time needed to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7 days in arthroscopy assisted group and 7.6 days in conventionally removed group. Fourteen patients (82.4%) who underwent arthroscopyassisted plate-removal reported above 'fair' satisfaction and the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e decreased from 4.9 to 1.9, six months after the plate removal. Thirteen patients(86.7%) who underwent conventional plate removal reported above 'fair' satisfaction and the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e decreased from 5.2 to 2.5, six month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Through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assisted plate removal, intrarticular pathology of the knee joint was able to be simultaneously identified and treated at the time of hardware removal. Damage of lateral capsule of the knee joint caused by the inserted plate for the treatment of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 was very frequently found and following the plate removal, patients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pain score. We therefore recommend routine lateral distal femoral plate removal if the bony union is attained in such cases as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s whose distal most end of the plates are located in the joint.

목적: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서 대퇴골 외측에 금속판을 삽입한 후,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식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 및 대퇴골 외측면에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들 중 대퇴골 외과 부위의 불편감으로 인해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17예와 관절경 없이 고식적인 방법으로 금속판 제거슬 시행한 15예, 총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6세(20~66세), 최초 골절 상태는 AO/ASIF 분류상 C1 16예, C2 11예, C3 5예였다. 술 중 확인된 관절내 병변, 술 후 합병증 및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 시간, 수술에 대한 만족도, 술 전 및 술 후 6개월 추시상의 슬관절 통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는 슬관절 내에 위치하였고, 23예에서 이와 접촉하는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금속판 제거술 후 지속적 창상 배액으로 세척술 및 창상 재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는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일이었고,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6일 이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4예(82.4%)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 전 4.9에서 수술 후 6개월에 1.9로 감소하였다.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3예(86.7%)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전 5.2에서 수술 후 6개월에 2.5로 감소하였다. 결론: 본 술식은 원위 대퇴골에 삽입된 금속판 제거와 함께 슬관절 내의 다양한 병변의 확인 및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를 위해 삽입된 금속판에 의한 슬관절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매우 빈번히 확인되었고, 금속판을 제거함으로서 슬관절 통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음으로, C-형 원위 대퇴골 골절과 같이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가 관절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골절의 유합이 이루어지면 금속판을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