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ults of Partial Meniscectomy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Articular Cartilage Injury

관절 연골 손상 정도에 따른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의 결과

  • Choi, Nam-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 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Yang, Young-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 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Nah, Ki-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 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Yang, Hyuk-Ja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 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Hyu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 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최남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양영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나기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양혁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송현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Purpose: To identify the damage of the articular cartilage and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artial medial menisc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4, forty-eight patients in the degenerative arthritis and medial meniscal tear of knee who undertook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were able to keep pace with the times follow-up for more than 3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ix cases were men and 42 were women, and the mean age was 55.7 years (40~78 year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uterbridge grade. Grade I and II were classified into group 1 and grade III and IV into group 2. Group 1 included 30 cases and group 2 included 18 cases. The resul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and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we measured the distance of medial joint space in standing anteroposterior (AP) view of both sides at the pre-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Results: According to the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28 cases were excellent, 7 cases good, 8 cases fair, and 5 cases poor. Among group 1, 25 cases were excellent, 2 cases good, 2 cases fair, 1 case poor. However, among group 2, 3 cases were excellent, 5 cases good, 6 cases fair, 4 cases poor. Average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62.4 preoperatively to 94 postoperatively in group 1, and from 58 preoperatively to 77.9 postoperatively in group 2. The joint space narrowing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knees standing AP view. Conclusion: The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for a patient with the degenerative articular cartilage was an effective treatment. However, we could not satisfy the results, in cases of Outerbridge grade III and IV. In grade III and IV, the partial meniscectomy was not aggravated the cartilage damage.

목적: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 연골 손상과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관절 연골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내측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과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관절경적 부분절제술을 시행 후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예, 여자가 42예였으며, 나이는 평균 55.7세(40~78세), 관절경 소견상 Outerbridge 분류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제 1군은 grade I과 II를, 제 2군은 grade III와 IV를 포함하였다. 제 1군이 30예였고, 제 2군이 18예였다. 임상 결과는 Tapper & Hoover분류 및 Lysholm knee score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술전과 최종 추시 양슬관절 기립 전후면 사진에서 내측 관절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Tapper & Hoover분류에 따른 평가에서 우수가 28예, 양호 7예, 보통 8예, 불량 5예였다. 제 1군은 우수 25예, 양호 2예, 보통 2예, 불량이 1예다. 반면에 제 2군에서는 우수 3예, 양호 5예, 보통 6예, 불량이 4예였다. 기능적 평가상 Lysholm 점수는 1군에서는 술전 평균 62.4점에서 술후 평균 94.0점으로 향상되었으며, 2군에서는 술전 평균 58.0점에서 술후 평균 77.9점으로 향상되었다. 술후 점수의 비교에서 1군이 2군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기립 전후면 단순 방사선 사진상 관절 간격의 감소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관절염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관절경적 반월상연골 부분절제술은 증세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그러나 관절 연골의 손상이 Outerbridge III나 IV인 경우에는 만족스런 결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Outerbridge III 및 IV의 관절연골 손상에서는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이 증세 호전이 만족스럽지는 않았으나 관절연골손상을 악화시키지는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