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with Tibialis Allograft Using Hybrid Femoral Fixation and $Retroscrew^{(R)}$

Hybrid 대퇴 고정과 $Retroscrew^{(R)}$를 사용한 동종 경골건 이용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 Kim, Doo-Sub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Rah, Jung-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김두섭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라중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Purpose: We used tibialis allograft for the reconstruction of ACL and used Hybrid femoral fixation utilizing $Endobutton^{(R)}$ and $Rigidfix^{(R)}$ for femoral fixation, and used $Retroscrew^{(R)}$ and additional fixation for tibial fixa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e ACL reconstruction were performed from February 2004 to February 2007 utilizing Hybrid femoral fixation and $Retroscrew^{(R)}$ and 32 patients, 32 cases which were available for year-long observation (12 to 25 months). The clinical results (Lysholm knee score, IKDC grade) and the radiologic results(bone tunnel expansion, Telos anterior displacement test) were evaluated. Results: The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the average of $67.9{\pm}5.4$ points (range: 51~77) before operation and to $94.1{\pm}6.8$ points (range: 68~98) at the last follow up (p<0.05). 22 cases (69%) were evaluated normal (A), 9 cases (28%) were evaluated nearly normal (B) and only 1 case (3%) was evaluated not normal (C) at IKDC final evaluation and no case was evaluated abnormal. From $Telos^{(R)}$ stress x-ray evaluation, difference from the opposite knee was improved average 13.2 mm{\pm}5.8 (range: 6~21 mm) to average $3.4\;mm{\pm}2.8$ (range: 0~11 mm) after operation (p<0.05). The femoral and tibial tunnel were widened by 18.7% and 9.6% in the AP view and 12.4% and 8.5% in the lateral view, respectively (p<0.05). However, any statistic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between bone tunnel expansion and knee joint functions (p>0.05). Conclusion: An ACL reconstruction with tibialis allograft using Hybrid femoral fixation and $Retroscrew^{(R)}$ enabled anatomical fixation of the graft tendon with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위해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였고 대퇴 고정을 위해 $Endobutton^{(R)}$$Rigidfix^{(R)}$을 사용한 Hybrid 대퇴고정 그리고 경골 고정을 위해 $Retroscrew^{(R)}$ 및 추가 고정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Hybrid 대퇴 고정과 $Retroscrew^{(R)}$를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고 1년 이상 추시(범위: 12~25개월) 가능 하였던 32명,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재건술 전후 Lysholm 슬관절 점수, IKDC 평가 기준, $Telos^{(R)}$ 전방 전위 검사를 이용하였고 최종 추시시 단순 방사선 전후면 및 측면 사진을 촬영하여 골 터널 확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67.9{\pm}5.4$점(범위: 51~77점)에서 최종 추시시 $94.1{\pm}6.8$점(범위: 68~98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IKDC 최종 추시 평가상 정상(A) 22례(69%), 거의 정상(B) 9례(28%), 비정상(C) 1례(3%)로 심한 비정상(D)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Telos^{(R)}$ 스트레스 부하 방사선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가 술 전 평균 $13.2\;mm{\pm}5.8$(범위: 6~21 mm)에서 술 후 평균 $3.4\;mm{\pm}2.8$(범위: 0~11 mm)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5). 골 터널 확장은 대퇴 터널은 전후면 사진상 18.7%, 측면 사진상 12.4%(p<0.05), 경골 터널은 전후면 사진상 9.6%, 측면 사진상 8.5%의 확장을 보였다(p<0.05). 그러나 골 터널 확장의 정도와 슬관절 기능 사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동종 경골건의 고정시 Hybrid 대퇴고정과 $Retroscrew^{(R)}$를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이식건의 해부학적 고정을 가능하게 하였고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