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Headwear Design by John Galliano's Collections

존 갈리아노의 콜렉션에 나타난 헤드웨어의 디자인 특성

  • 성광숙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headwear design by John Galliano's collections had been placed under the interpreting the immanent characteristics of presented in external things. His headwear design was found to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ethnic forms, historical forms, natural modeling forms, artifical forms, false hair forms and abstract forms. And his headwear design was found to have folling immanent characteristics; expaned exaggeration, introduced into existing form and reconstruction, mixed with different motives, change of texture, introducing and parody by natural and artifical form, pure abstacted construction. Furthermore, it can be identified that immanent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things are mutually linked.

Keywords

References

  1. 모자에 관한 선행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함
  2. 차은진.박민여(2006), "1990년대 여성구두디자인의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0(6), pp.840- 850
  3. 이윤정(2003), "존 갈리아노 패션쇼의 메이크업의 미학적 연구", 한국 인체예술 학회지, 4(2), pp.270-281
  4. 진경옥(2005), "존 갈리아노 패션쇼에 나타난 현대패션코디네이션 특성", 복식, 55(6), pp.54- 59
  5. 페어차일드 패션대사전 (부산: 노라노 출판, 2006), p.249
  6. Mary Brooks Picken(1973), The Fashion Dictionary, New York: Funk&Wagnalls, p.186
  7. 김은실.배수정(2003), "필립트레이시의 작품에 나타난 모자의 조형성과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3(3), pp.107-119
  8. 김은실.배수정(2005), "현대패션에 나타난 모자디자인의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 55(3), pp.108-121
  9. 유현정.김민자(2006), "20세기 이후 여성모자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56(9), pp.50-55
  10. 이영재.김주희(2008), "영화에 나타난 여성모자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p.307-316
  11. 류지원.임인숙(2000), "헤어장식을 위한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6(1), pp.5-13
  12. 권대순.임인숙(2001), '헤어연출의 창의적 방법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2), pp.41-63
  13. 이순홍 외 (2002), 세계 복식과 패션 정보, 교문사 p.282
  14. 김명섭(1998),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의 작품 세계와 미적 특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3-24
  15. Colin Mcdowell(1997). Galliano.. Lodon: Weidenfed & Nicolson, preface
  16. 김명섭(1998),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의 작품 세계와 미적 특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9-72
  17. 박혜원(1999), 존 갈리아노 디자인 연구, 패션비지니스, 3(2), pp.19-29
  18. 구미지(2001), "디오르 작품에 대한 갈리아노의 현대적 재해석에 관한 연구", 복식, 51(8), p. 45
  19. 진경옥(2005), "존 갈리아노 패션쇼에 나타난 현대패션코디네이션 특성", 복식, 55(6), pp.54- 59
  20. 성광숙(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9-10
  21. 이윤정(2005), "크리스찬 디올 패션과 광고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비교",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25
  22. Claude Lamontage (2001). Chain Mail Armored Knight, Quebec:ADLM Inc, p.5
  23. 마이크 페이스튼(1999),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 정숙경 (역), 현대 미학사, p.10
  24. 페어차일드 패션대사전 (부산: 노라노 출판, 2006), p.256
  25. "Review"(2008.11.8),Christan Dior,2008S/CTR, http://www.style.com
  26. 노정심(1994), "아방가르드 패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8
  27. "Review"(2008.12.2),Christan Dior,2007S/RTW, www.sty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