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brary Service Model Toward Ubiquitous City

U-City 구현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모델

  • 정준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9.29

Abstract

The concept of library is newly interpreted and designed under the environment of U-City. The basic notion of the library should not changed its kernel nevertheless, the new technologies like ubiquitous computing services are applied to the library, which functions in terms of information services, continuous learning programs and communities of practice(CoP). The library is fit for any technologies or environments as organism. Actually the library has been shown in terms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t leads to comprehend the library as its appearance not as it is. The libraries including even cities have evolved toward ubiquitous(computing) environment. On the other words, the libraries have sought ubiquitous at the past, now they are still chasing it.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도처에 있는, 편재(偏在-한쪽에 치우침)되지 않고 편재(遍在-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로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인 상태,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지향하는 미래 도시에서 도서관을 새롭게 정의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도서관을 정보제공, 평생교육 및 커뮤니티 서비스로 보고 도서관이 본질적으로 변한다기 보다 살아있는 유기체로서의 도서관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해 갈 뿐임을 밝히고 있다. 실제로 도서관에 대한 기능적 해석이 늘 당시의 기술을 전제로 설명되어짐으로써 도서관의 본질은 왜곡되어 왔다. 즉 인간의 행동에 대한 모든 인식적 사고에는 주변에 있는 모든 정신적 존재와 실체적 존재를 항상 자신과 가까운 데에 두고자 하는 경향이 있음을 놓고 볼 때 도시 뿐만 아니라 도서관 역시 그렇게 진화하였고 그 모습은 당시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성순, 강혜영. 2005. 유비쿼터스 도서관 시대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127-145. https://doi.org/10.4275/KSLIS.2005.39.1.127
  2. 고일두. 2009. 새로운 건축 패러다임 Ubiquitous 공간 기술. 건축 0901: 14-16.
  3. 김복환, 구지희, 곽인영. 2009. 지속가능한 U-City 운영을 위한 선순환 U-City모델의 개발방향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11(1): 145-156.
  4. 김선애. 2006. 공공도서관 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193-208.
  5. 김용, 김태경. 2006. 공공도서관의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모형화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195-215.
  6. 노동조. 2005. 시나리오기법을 통한 도서관 서비스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361-375.
  7. 노동조, 곽승진, 장윤금. 2008.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95-308.
  8. 도태현. 2006.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131-150.
  9. 류영미, 이문학. 2007. 유비쿼터스 시대 전자출판산업의 발달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53: 129-152.
  10. 박온자. 2005.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서비스에 관한 연구 -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5-33.
  11. 박원익 외. 2007.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 맞춤 자원 공유 시스템. Proceedingsof KFIS Autumn Conference, 17(2): 272-275.
  12. 송승섭. 2005. 미국의 병영도서관의 발전과정과 한국전쟁중의 병영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257-273.
  13. 송해덕. 2008. 미래학습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모델 개발. 열린교육연구, 16(1): 39-56.
  14. 유재옥. 2002. 웹 기반 대학도서관서비스의 사용편리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3(1): 59-75.
  15. 이관태. 2009. 새로운 차원으로서의 유비쿼터스 환경과 공간전략. 건축, 0901: 46-50.
  16. 이상복. 2006. 도서관서비스헌장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287-305. https://doi.org/10.4275/KSLIS.2006.40.4.287
  17. Lee, Sang-Ho etc. 2008. “Ubiquitous urban infrastructure." Innovation: management, policy & practice, 10: 282-292. https://doi.org/10.5172/impp.453.10.2-3.282
  18. 이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3-43. https://doi.org/10.4275/KSLIS.2004.38.3.023
  19. 이수상. 2008. 정보생태계 관점에서 본 도서관 2.0 서비스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9-49.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029
  20. 이영호 외. 2008. 유비쿼터스 가상현실에서 디지로그형 u-콘텐츠 기술동향 및 응용. 정보과학회지, 26(12): 6-17.
  21. 장윤금. 2007. 공공도서관의 e-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15-328. https://doi.org/10.4275/KSLIS.2007.41.4.315
  22. 장희선, 조기성. 2007. 송탄 U-City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1): 223-231. https://doi.org/10.5392/JKCA.2007.7.11.223
  23. 전영옥. 2006. u-City의 성공적인 개발 모델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6.6, viii, 45p.
  24. 정미경, 남태우. 2007.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47-363. https://doi.org/10.4275/KSLIS.2007.41.4.347
  25. 정연경, 김성진. 2008.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01-323. https://doi.org/10.4275/KSLIS.2008.42.3.301
  26. 정영철. 2008.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 e-Welfare, u-Welfare 개념 및 발전모형[발췌]. 보건복지포럼(2008.8), 48-66.
  27. 정준민, 박성우. 2004. 정보의 유비쿼터스적 해석을 통한 도서관 본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265-279.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265
  28. 조병완 2007. 유비쿼터스 생태도시 U-Eco City. Korean Geo-Environmental Conference 2007(September 7, 2007 in Gwacheon, Korea): 3-8.
  29. 조재인. 2007. 롱테일 현상과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73-90. https://doi.org/10.16981/kliss.38.3.200709.73
  30. 차덕환, 이종호. 2008. 초.중.고등학교에서의 유비쿼터스를 활용한 u-러닝 교실모형 구축 방안. 전자상거래학회지, 9(3): 71-90.
  31. 한윤옥, 조미아, 김수경.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35-16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35
  32. 홍명우, 조대제. 2007. 사용자 중심 시나리오에 따른 U-스쿨프레임워크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2): 283-291.
  33. 황동열. 2007. U-도서관박물관의 기능변화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181-199.
  34. Araya, A. A. 1995. Questioning Ubiquitous Computing. ACM Proceedings of the 1995. ACM 23rd Annu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230-237.
  35. Qureshi, Khubaib Ahmed and Mansoor-uz-Zafar Dawood. 2008. “Intelligent ubiquitous computing and e-business s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8: 128-135.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07.06.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