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Improvement for the Military Logistics, focusing on the PLS Truck and the Dual Pallet Standard

PLS트럭 및 표준 파렛트 규격 복수화 적용이 군수지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권강민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김민우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강성진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
  • 강경우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서선덕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n the military logistics, the Outsourcing such as 3PL (3rd Party Logistics) and 4PL has emerged recently as an important agenda. However, when 3PL applied prematurely, side effects will occur such as the loss of combat power in wartime,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the high cost by a small amount of military order. Recently,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Britain want to compensate for these side effects. Therefore, They are developing the private-public competitive sourcing concept for the complementary partnership and the foster competition with the private sector. To apply this concept to the Korean Military, they need to be reorganized and promote the efficiency in the military logistics. Especially, the transportation sector. Therefore,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transportation sector, offers two kinds of measures to improve such as the Dual Pallet Standard (T11, T12) and the PLS(Palletized Loading System) truck system. Finally, these improvements will be analyzed by the simulation in this paper.

최근 군(軍) 물류 분야에서 3PL(3rd Party Logistics), 4PL과 같은 아웃소싱이 중요한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3PL을 성급하게 군 물류 분야에 적용시, 전시 전투력 저하, 정보 보안 취약성, 3PL 업체의 재하청(Sub-contract)에 따른 질적 저하, 규모의 경제에 미달하는 군내 소랑 조달에 따른 원가 상승 압력 등의 부작용 우려가 있다. 최근 미국,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이런 부작용을 보완하고자, 민간 부문과의 상호 보완적 협력 관계를 통한 민 관 경쟁 위탁(private-public competitive sourcing) 개념이 발전하고 있다. 이 개념이 우리 군(軍) 물류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군과 민간이 합리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군 수송 분야의 재정비와 효율화가 선제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군 물류 표준화 5개 분야중 수송 분야에 중점을 두어 파렛트 규격 복수화 방안 (T11,T12) 시행에 따른 PLS(Palletized Load System) 트럭 적용 개선 방안 및 모형을 제시한 후, 사단급 부대 사례 분석을 통하여 계량화된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태, 김경곤, '국방 민간 위탁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정책적 제언', 주간 국방논단, 2009
  2. KOTI '2006 연구 요약집', pp. 19
  3. 육군본부, '수송운용/이동관리(육로)', 야전교범 22-10-2, 2008
  4. 육군본부, '수송부 관리', 야교 22-30, 2002
  5. 조관식, '국방물류 체계 개선방향',KIDA, 2008
  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가물류 표준화 연구단, '일관수송용 파렛트의 합리화 방안', 2008
  7. 강성진, '군물류 네트워크 추정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2006
  8. 육군본부, '기술 및 군수 제원', 야전교범 4-0-1 , 2006
  9. 한국포장시스템 연구소, '택배포장 표준화에 관한 연구', 2005
  10. 김현승외 3 명,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 27권 제 l 호,2009
  11. 국토해양부 물류시설 정보과 보도자료 '일관 수송용 표준파렛트 규격 복수화 추진', 2009.3.12
  12. 김태현, 문성암, '물류 및 공급체인관리', 한국맥그로힐, 2003
  13. KOTI, '2005 국가물류비 산정 방법', 2007
  14. 국방부, '2007년 국방비용 편람', 2007
  15. 육군본부, '2007년도 육군통계연보', 2007
  16. 국방부, '2008 국방백서', 2008
  17. Aerospace and Electronics Conference, 'Logistics support analysis on the palletized load system',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