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크기의 중공 유기 안료

Micron-Sized Hollow Plastic Pigment

  • 최광식 (애경화학(주) 기술연구소) ;
  • 김양수 (애경화학(주) 기술연구소) ;
  • 정훈상 (애경화학(주) 기술연구소) ;
  • 장서원 (애경화학(주) 기술연구소) ;
  • 김남선 (애경화학(주) 기술연구소)
  • 발행 : 2009.09.25

초록

입자 분포가 균일하며,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중공 유기 안료에 대한 합성 방법을 연구하였다. 코어-쉘 합성 방법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중공 유기 안료를 합성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코어 크기 및 분자량에 따른 최종 입자 크기 변화 및 반응 중 코어의 중화 시간에 따른 은폐율 변화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한 코어 크기가 클수록 최종 입자 크기는 증가되며, $1.0{\mu}m$ 이상의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중공 유기 안료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00 nm 이상의 코어를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용한 코어 크기가 클수록 중공 부피비가 증가되나, 은폐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코어의 분자량을 줄이거나, 코어의 알카리 팽윤 단계에서 중화 시간을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반응 중 교반 속도 및 합성 고형분이 마이크론 크기의 중공 유기 안료 합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Syntheses of monodisperse and micron-sized hollow plastic pigment (HPP)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core-shell reaction. The effects of the reaction parameters, such as the particle size, molecular weight, the swelling time, agitation rate, and the solid contect were investigated. This micron-sized HPP could be made by using the alkali soluble core with at least bigger than 200 nm size. To obtain a higher opacity ratio, the swelling time and molecular weight of the core should be controlled. The agitation rate affected the particle's morphology. To prevent the shell destruction, the agitation rate must be sufficiently low in case of the syntheses of micron-sized HPP. In this study, micron-sized HPP exhibiting the high hiding power and narrow particle distribution could be obtained.

키워드

참고문헌

  1. B. Sadtler and A. Wei, Chem. Commun., 1604 (2002) https://doi.org/10.1039/b204760h
  2. T. Cassagneau and F. Caruso, Adv. Mater., 14, 732 (2002) https://doi.org/10.1002/1521-4095(20020517)14:10<732::AID-ADMA732>3.0.CO;2-P
  3. C. F. Lee, Polymer, 41, 1337 (2000) https://doi.org/10.1016/S0032-3861(99)00281-5
  4. L. S. Park, S. W. Park, J. G. Chang, and J. H. Bae, Polymer (Korea), 16, 8 (1992)
  5. S. Yoko and H. Jun, J. Soc. Rubber Ind. Japan, 79, 73 (2006) https://doi.org/10.2324/gomu.79.73
  6. W. J. Haskins and D. I. Lunde, Pulp & Paper, 63, 53 (1989)
  7. C. M. Park, E. Y. Kang, S. S. Im, T. S. Park, and K. U. Kim, Polymer(Korea), 15, 439 (1991)
  8. J. M. Park, J. K. Oh, C. H. Choi, and S. M. Hong, KR Patent Application # 10-0286471-0000
  9. D. G. Cook, J. Polym. Sci., 46, 1387 (1992)
  10. D. G. Cook, A. Rudin, and A. Plumtree, J. Appl. Polym. Sci., 48, 75 (1993) https://doi.org/10.1002/app.1993.070480108
  11. J. N. Goodier, J. Appl. Mech., 55, 39 (1993)
  12. H. Y. Kim, J. T. Hwang, and J. S. Han, KR Patent Application # 10-0645675-0000
  13. K. Nakamura, Polymer, 4, 309 (1995)
  14. D. Choi and M. Park, J. Korea Soc. Imaging Science, 6, 61 (2000)
  15. S. Kiatkamjornwong and C. Kongsupapsiri, Polym. Int., 49, 1395 (2000) https://doi.org/10.1002/1097-0126(200011)49:11<1395::AID-PI510>3.0.CO;2-D
  16. S. Kamei, M. Okubu, T. Matsuda, and T. Matsumoto, Colloid Polym. Sci., 264, 743 (1987) https://doi.org/10.1007/BF01500748
  17. B. Y. Ki, D. J. Kim, and S. C. Hun, Kor. J. Mater. Res., 3, 3 (1993)
  18. C. Liu, A. Paprica, and N. Petersen, Biophys. J., 73, 2580 (1997) https://doi.org/10.1016/S0006-3495(97)782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