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G-SDH망에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한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동기클럭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ynchronization Clock with Various Clock States Using Measured Clock Noises in NG-SDH Networks

  • 이창기 (위덕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발행 : 2009.10.31

초록

NG-SDH망에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한 동기클럭 성능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NG-SDH망에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하여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동기클럭 성능을 분석하고 최대 망노드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된 클럭잡음을 이용하여 적합한 클럭잡음모델을 생성하였고,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볼 때 정상상태에서 최대노드수는 80개 노드 이상 이였고, 단기위상변위(SPT)상태에서는 37개 이하였고, 장기위상변위(LPT)상태에서는 50개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가지 클럭상태에서 ITU-T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최대 노드수는 37개 이하 임을 알았다. 또한 DOTS 이전의 NE망에서 SPT이나 LPT상태가 발생하면 정상상태의 안정된 다른 동기원 소스로 절체해야 함을 알았다.

A study about performance analysis of synchronization clock using measured clock noises is required. Therefore this paper executed the study for performance analysis of synchronization clock and acquirement of maximum number of network node with various clock states using measured clock noises in NG-SDH networks. Also this paper generated a suitable clock model using measured clock noises, and carried out simulations with various clock states.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maximum numbers were 80 or more network nodes in normal state, and were below 37 nodes in short-term phase transient(SPT) state, and were 50 or more in long-term phase transient(LPT) state. Accordingly this study showed that maximum numbers to meet ITU-T specification were below 37 network nodes in three clock states. Also this study showed that when SPT or LPT states occur from NE network before DOTS system, synchronization source must change with other stable synchronization source of normal state.

키워드

참고문헌

  1. Dirceu Cavendish et al., “Next Transport Services for Next Generation SONET/SDH System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pp.80-7, May, 2002. https://doi.org/10.1109/35.1000217
  2. ITU-T G.707/Y.1322, “Network node interface for the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August 2002.
  3. ITU-T Draft Recommendation G.7041, “Generic framing procedure(GFP),” December, 2001
  4. ITU-T Draft Recommendation G.7042, “Link capacity adjustment scheme(LCAS) for virtual concatenated signals,” August, 2002.
  5. ITU-T Recommendation G.810, “Definitions and terminology for synchronization networks,” Sept., 1997.
  6. ITU-T Recommendation G.811, “Timing characteristics of primary reference clock,” Sept., 1997.
  7. ITU-T Recommendation G.812, “Timing requirements of slave clocks suitable for use as node clocks in synchronization networks,” March, 2005.
  8. ITU-T Recommendation G.813, “Timing characteristics of SDH equipment slave clocks(SEC),” March 2003
  9. ITU-T Recommendation G.783, “Characteristics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equipment functional blocks,” 1997.
  10. G. Garner, “Noise accumulation in synchronization reference chains,” Contribution to T1 Standard Project, T1X1. 3 / 95-044, 1995.
  11. ANSI Draft T1.105.09, “Network element timing and synchronization,” 1995.
  12. ANSI Revised Draft T1.101, “Synchronization interface standard,” 1999
  13. 한국전기통신공사, 디지털 클럭 공급장치(DOTS) 설명서, 1988.
  14. 이창기, “동기망과 동기식 전송망에서의 동기클럭 단기안정 특성 분석,”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제8-C권, 제3호, pp299-309, 2001년 6월.
  15. 이창기, “NG-SDH 망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최종연구보고서, 2004년 11월.
  16. 이창기, “동기망과 전송망에서의 동기클럭 성능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제11-C권, 제1호, pp.123-134, 2004년 2월. https://doi.org/10.3745/KIPSTC.2004.11C.1.123
  17. 이창기, “NG-SDH 망에서 다양한 클럭상태 하에서의 동기클럭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제13-C권, 제3호, pp303-310, 2006년 6월. https://doi.org/10.3745/KIPSTC.2006.13C.3.303
  18. 양충열, 고제수, 이창기, 김환우, “광전송플랫폼에서의 망동기 장치 구현과 광전송망에 미치는 원더의 영향분석,”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제32권 제7호, pp.678-685, 2007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