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Internet Content Filtering Software

유해정보 차단 S/W 개선방안 연구

  • 전웅렬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이현승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허순행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 김경신 (인덕대학교 인터넷 TV 방송과) ;
  • 원동호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김승주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openness of the Web allows any user to access any type of information easily at any time and anywhere. However, with function of easy access for useful information, internet has dysfunctions of providing users with harmful contents indiscriminately. Some information, such as adult content, is not appropriate for children. To protect children from these harmful contents, many filtering softwares are developed. However, these softwares can not prevent harmful contents, perfectly, because of some limit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existing eleven filtering softwares and state the limitation of these softwares. Furthermore, we propose requirements for new filtering software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and describe framework of the new software.

초고속 인터넷망의 활발한 보급과 컴퓨터의 대중화로 인해 인터넷은 이제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가 되었다. 인터넷을 사용하면 전 세계에 걸쳐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유해한 정보 역시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치관이 아직 명확히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무분별한 유해정보의 유출은 그릇된 가치관의 형성과 더불어 범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시중에는 무분별한 유해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다양한 유해정보 차단 S/W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현 유해정보 차단 S/W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유해정보의 완벽한 차단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차단기능에 대한 다양한 우회방법 또한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유해정보 차단 S/W의 차단효과를 분석하고 한계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나아가 기존 유해정보 차단 S/W의 한계점을 극복한 새로운 유해정보 차단 S/W의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afeNet, http://www.safenet.ne.kr
  2. PC 통신과 인터넷상의 불건전 정보유통 및 윤리의식 실태조사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연구보고서, Jan., 1999.
  3. 2006년 불법·청소년 유해정보 실태 조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연구보고서, July, 2006
  4. 2007년 불법·청소년 유해정보 이용실태 조사,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연구보고서, July, 2007.
  5. 장병탁, “차세대 기계학습 기술”, 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Mar., 2007.
  6. 박성배, 태윤식, “기계학습과 정보검색”, 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Mar., 2007
  7. 김영수, 남택용, 원동호, “등급에 따른 웹 유해 문서 분류 기술”,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제13-Crnjs 제7호, Dec., 2006 https://doi.org/10.3745/KIPSTC.2006.13C.7.859
  8. 남택용, 정치윤, 한치문, “인터넷에서의 유해 이미지 컨텐츠 등급 분류 기법”, 정보과학회 논문지 정보통신 제32권 제3호, June, 2005.
  9. 동영상의 비주얼 특징을 이용한 유해 동영상 판별함수 생성 및 판별 방법 그리고 그 장치,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May, 2007.
  10. 이재선, 전용희, 장정숙, “유해 인터넷 정보 차단을 위한 내용 등급 서비스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28, No.10B, Oct.,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