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tress factors and Self-Esteem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young-old, the old-old, the oldest-old groups: The Mediating Role of Two Dimension Self-Esteem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2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권태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01.31
  • Accepted : 2009.03.15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impact and pathways of stress factors, internal resources(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on the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stress coping theory, grouping older stage into three groups such as, the young-old, the old- old, oldest-old. This study further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Data from 1st 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4,338 who were over 65. Data a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stress factors and internal resources(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directly affected depressive symptoms. The effects of stress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were mediated by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effects and pathways of stress factors and self-esteem on depressive symptoms were different into the three old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이론을 토대로 노년기를 연소노인, 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스트레스 요인들과 긍정적 자아존중감 및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내적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2요인으로 구분하여, 스트레스 요인들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인 가구원 4,338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년기의 스트레스 요인들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긍정적 자아존중감 및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집단분석결과, 노년기의 연령대별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경로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우울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사회복지의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