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the Asset Poor's Poverty Exit and Entry

자산빈곤이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강성민 (숭실대학교 사회보장연구센터) ;
  • 유태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사회보장연구센터)
  • Received : 2009.01.31
  • Accepted : 2009.03.15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et poor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ose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the asset poor's poverty exit and entry. The 2nd wave through 8th wave data from KLIP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sset poverty lined of 50% of the household net asset was set up so that households below 50% are classified as the asset po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et poor were examined in a static manner by analyzing only the 8th wave KLIPS data. To investigate those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asset poor's poverty transferal with a dynamic perspective, the authors employed two survival analysis methods, the life table analysis and the Time-dependent Cox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som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future policy efforts to support the asset poor and for the current poverty policies as well. In specific, if the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 is to be initiated in the future, it would be essential to build a systematic model to utilize accumulated asset by enhancing job competencies and ability to gain a decent job.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산빈곤층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산빈곤이행(移行)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분석자료로 이용하여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자산빈곤가구는 소득빈곤가구에 비해 빈곤지속기간이 길고, 빈곤탈피율이 낮으며 빈곤에 더 오래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의존 콕스회귀분석 결과,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높고 소득 수준이 높으며, 비정규직에 비해 정규직일수록 자산빈곤을 조기에 탈피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빈곤정책과 함께 자산빈곤층의 자산을 형성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국내에서 자산형성 지원사업이 시행이 된다면 좀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거나, 직무 능력 향상을 통해 안정적인 일자리(decent job)를 얻는 능력을 갖추는데 정책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08년 숭실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논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