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aths of the Effects of Adolescents' Part-time Work Experiences on Mild and Serious Delinquency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이 경비행 및 중비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 탐색

  • 김예성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김선숙 (충주대학교 노인보건복지학과)
  • Received : 2009.01.31
  • Accepted : 2009.03.01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s of the related variables that exert an influence upon the increase in mild and serious delinquencies of part-time work adolescents. Based on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social control theory and power resource theory, the research model was compos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Data came from survey which was done by fiftee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201 questionnaire of returned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congruent with theoretical expect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hour per week and delinquency was mediated by delinquent propensity of fellow workers, amount of spending money and school adjustment. In conclusion,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ocusing on the part time work students were discussed. Enforcement of regulation and revision of current law and various ways for helping and supervising working students in school, family and working places are need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시간제 노동경험이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고등학생 중 한 달 이상의 기간동안 시간제 노동을 경험한 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비행이론인 차별접촉이론, 사회통제이론, 권력자원이론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주당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동료의 비행성향이 증대되고, 용돈의 소비수준이 증가하며, 학교적응 수준이 떨어지게 되고, 이것이 다시 비행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 가지 주요 비행 이론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특히 주당 노동시간은 중비행보다는 경비행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중비행의 경우 동료의 비행성향만이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주당 노동시간과 비행의 매개변인을 검토함으로써 비행의 증가를 막기 위한 개입지점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에 기반하여 노동경험 청소년들의 비행성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학교, 가정, 노동현장에서의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