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mensionless Flood Waves for the Unsteady Seepage Analysis of the Levees

하천제방의 비정상침투해석을 위한 무차원 설계홍수파형에 관한 연구

  • 전세진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권경준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안원식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seepage should be analyzed to design or reinforce the levees. The steady seepage analysis is an usual application in USA and European countries where the large scaled dams and levees are existed. However, Korea and Japan, where the reaching time is short, the excessive forces are applied on the levees at the short reaching time if the seepages are analyzed in steady condition. Accordingly, the unsteady analysis based on the variation of time is necessitated. In the unsteady analysis, the flood wave type is necessary. No criteria and standards, however, are derived for the unsteady seepage in Korea. In the study, the flood wave type is derived for the unsteady seepage. The major reliable flood surface data are collected in 5 stations including Jindong of the Nakdong river basin. The data are sorted in duration, and they are non-dimensionalized. The statistical method is also applied to derive the waves. To verify the study, the seepage is analyzed by the derived wave and applied to the prototype. The results are also compared with the Japanese Method. The errors between the hydraulic gradient and critical velocity method are $0{\sim}0.7%$, $0{\sim}0.7%$ at the Jindong, $1.6{\sim}4.0%$, $1.7{\sim}4.1%$ at the Hyunpoong, $0.6{\sim}3.6%$, $0.6{\sim}3.7%$ at the Waegwan, $2.0{\sim}8.1%$, $2.0{\sim}8.1%$ at the Nakdong, and $1.2{\sim}9.8%$, $1.3{\sim}9.9%$ at the Jeongam,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R^2$) between each method is relatively high as $0.983{\sim}0.999$. This means the results are more logical than the Japanese method, and the study is applicable to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제방을 설계하거나 기존제방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침투해석이 필요하다. 미국, 유럽 등과 같이 대규모하천이 대부분인 외국에서는 댐에서와 같이 정상침투해석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일본하천의 경우는 홍수지속시간이 짧아 설계홍수파형을 정상상태로 해석할 경우에는 과대한 외력을 주게되므로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를 고려한 비정상 침투해석을 하여야한다. 이 경우 하천수위와 지속시간에 대한 홍수파형이 필요하나 국내에서는 명확한 기준이나 지침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침투해석에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유도하였다. 수위자료가 양호한 낙동강 수계 진동 등 5개 수위관측지점의 과거 주요홍수에 대해 지속시간별 홍수위를 조사하여 무차원화를 시켰다. 그리고 통계적.확률적 처리를 통하여 무차원 설계홍수파형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홍수파형의 적정성은 과거 발생한 원홍수사상과 금회 유도한 설계홍수파형을 이용하여 침투해석을 시행하고 일본의 방법과 비교해서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동수경사법과 한계유속법에서 오차는 각각 진동 $0{\sim}0.7%,\;0{\sim}0.7%$, 현풍 $1.6{\sim}4.0%$, $1.7{\sim}4.1%$, 왜관 $0.6{\sim}3.6%$, $0.6{\sim}3.7%$, 낙동 $2.0{\sim}8.1%$, $2.0{\sim}8.1%$, 정암 $1.2{\sim}9.8%$, $1.3{\sim}9.9%$로 나타났다. 상관성($R^2$)은 $0.983{\sim}0.999$ 정도로 매우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의 방법보다 합리적이며,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8) 2007년도 낙동강유량측정보고서(VI 낙동강유량측정)
  2. 김규호 (2004) 하천제방설계기술(침투).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3.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3) 낙동강수계 개진제 외 5개소 하천개수공사 실시설계보고서
  4.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4a) 낙동강수계 생송제 외 2개소 하천개수공사 실시설계보고서
  5. 부산지방국토관리청 (2004b) 남강 적곡지구 외 5개소 하천개수공사 실시설계보고서
  6. 서동수, 전세진, 홍창선, 안원식 (2006) 계획홍수량 산정을 위한 설계강우의 시간분포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 1600-1603
  7. 윤광석, 여규동 (2004) 하천제방의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01-06
  8. 建設省 (2000) 河川堤防設計指針
  9. Floyd A. Huff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 4, pp. 1007-1019 https://doi.org/10.1029/WR003i004p01007
  10. Floyd A. Huff (1990) Time Distribution of heavy rainstorms in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Champaign, Circular 173
  11. GEO-SLOPE international Ltd. (2002) User's Guide SEEP/W Version 5.1. Calgary, Alberta, Can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