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erenc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Campsite Visitors - Focus on Wolaksan.Sokrisan National Park -

야영장 이용객의 선호요인과 이용 만족도 - 월악산.속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 Ryu, Jae-Se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
  • Kim, Ha-Jo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
  • Kim, Jin-Seo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Cheongju University)
  • 류재승 (청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하종 (청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진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isitor preferences and the degree of service satisfaction for campsites and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visitor satisfaction so that the study may provide proper data needed to build and operate campsi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men use campsites more frequently than women. Campsites are most often used by those in their thirties, the highest percentage out of all the age groups. Relaxation proved to be the main purpose for using campsites. It was also found that usually 2 to 4 people use a campsite at a time, the highest percentage as well. 2. The factor-analysis of 13 items related to campsite satisfaction can be divided into facilities, psychological factors, the surrounding-environment and access. 3.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lavatories has the most influence in the facilities factor. The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revisit has the most influence in the psychological factor. The landscape element has the most influence in regards to the surrounding-environment and the guidance and sign system has the most influence in the access factor. 4.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most influence overall satisfaction are facilities factor,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at order.

본 연구는 야영장의 선호요인과 이용 만족도를 분석하여 이용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여 야영장의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영장의 이용은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이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야영장의 주된 이용 연령은 30대가 가장 높으며 휴식을 목적으로 야영장을 이용한다. 이용 집단의 규모는 $2{\sim}4$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시설 만족도에 관한 13가지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시설 요인, 심리 요인, 주변 환경 요인, 접근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시설 요인에서는 화장실에 대한 만족도, 심리 요인에서는 재방문 의사에 대한 만족도, 주변환경 요인에 대한 항목에서는 경관적 요소, 접근성 요인에 대한 항목에서는 안내 표식체계에 대한 항목이 높은 영향력이 있다. 4.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시설 요인, 심리 요인, 접근 요인, 주변환경 요인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정(1997) 자동차야영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립공원 관리공단(2008) 통계자료
  3. 김경수(2002) 야영장 교육환경이 야영 수련생의 만족과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광래, 진희성, 김세천(1988) 지리산 국립공원의 이용자 행태분석과 관리실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6(2): 43-57
  5. 김미진, 홍미정, 조태동(2004). 국립공원 내 야영장 활성화 방안. 한국환경과학회지 13(1): 51-54
  6. 김진선(2008) 캠프장의 분포 특성.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 26(1): 101- 107
  7. 노형진(2001) SPSS12.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형설사
  8. 윤지환, 김수진(2003) 자연휴양림 숙박시설 이용객의 행태분석. 한국관광학회지 27(3): 61-77
  9. 이기철, 강기래 (2007) 자연휴양림 숙박시설만족도 모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78-86
  10. 이민왕(2001) 학생야영장의 이용실태 및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호철, 최수영, 박재홍(2002) 경영 차별화를 통한 그린투어리즘 활성화 전략. 한국농촌사회학회지 농촌사회 12(2): 103-130
  12. 조성제(2007) 야영장 교육환경이 초등학교 야영 수련생의 만족과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현길(1986) 산악형국립공원 야영장의 수용력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