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선택상황에서의 제품 속성평가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의류 구매자 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of Online Apparel Buyers Based on Attribute Evaluations in Choice Sets

  • Park, Ha-Na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Kyu-Hy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9.07.31

초록

Consumers have more choices for apparel products as e-shopping grows.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classifies online apparel buyers into groups based on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in various choice sets. For the empirical research,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Latent Gold Choice 4.0 was used for the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Five consumer segments are found based on the choice selection of product attributes. The importance of product attributes (online shopping mall, brand, price, and style) and the preference of each product attribute level were different across segments. This research improves the knowledge of the purchasing behavior of online apparel buyers and provides proper attribute combinations of apparel e-shopping for each consumer seg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영식, 이진화. (2002). 청바지 제품 세분시장 내 가격-품질 평가집단 추출에 관한 연구: 결합분석과 mixture model 을 이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6(11), 1605-1614
  2. 김병도. (1999). 비보상적 컨조인트 분석법의 이론. , 1−13
  3. 김선숙. (2003).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의류상품 쇼핑행동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성희. (2001). 패션점포 유형별 소비자 만족과 재구매의도: 의류제품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의 영향을 중심으로. 복식, 51(1), 61-74
  5. 김연경. (2008).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충동 구매 자극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은숙, 김미영. (2007). 온라인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점포속성 만족도. 복식, 57(7), 1-14
  7. 김은영. (2008). Y세대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동기에 의한 온라인 시장세분화.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693-705
  8. 김희수. (2001). 인터넷 이용자의 패션 웹사이트 이용실태와 정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은주. (1991). 의복 구매상황과 의복평가 기준과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163-171
  10. 박준우, 김정원. (2002). 의류제품 단서 차이에 따른 소비자평가 가격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5), 457-464
  11. 박철. (2002).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유통비즈니스리뷰, 2, 49-63
  12. 사이버쇼핑몰동향조사. (2008).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8, 11. 3, 자료출처 http://www.kosis.kr/
  13. 서문숙. (2008). 온라인 구전정보가 패션상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수연, 권영아. (1998). 소비자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전국 상표와 자체상표의 제품 지각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7), 851-861
  15. 안광호, 김상용, 김주영. (2001). 인터넷마케팅원론. 서울: 법문사
  16. 안병기. (1998). 패션 기업경영론. 서울: 경춘사
  17. 여운승. (2000). 다변량행동조사. 서울: 민영사
  18. 오정미, 허갑섬. (1995).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청바지 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3), 448-462
  19. 이문규, 김나민. (2002).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시장세분화 연구. 소비자학연구, 13(4), 1-23
  20. 이영주, 박경애, 허순임. (2002).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점포속성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6(8), 1265-1273
  21. 이유리. (2004). 의류상품화 과정에서 패션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제1보): 패션과 베이직 제품의 개념. 한국의류학회지, 28(2), 280-291
  22. 이호연. (2005).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장재임. (2004). 의류제품 구매과정에 나타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 혼합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조영주, 임숙자, 이승희. (2001).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7), 1247-1257
  25. 최선형. (2006).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캐주얼 브랜드의 제품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4(12), 105-115
  26. 홍성권, 이상우, 이민우, 이상민. (2007). 수변공원과 체육공원의 중요 속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6), 33-43
  27. 홍희숙, 이수경. (2005). 인터넷 점포의 의류상품환경에 대한 인식이 쇼핑감정과 점포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3/4), 478-490
  28. 황경순. (2009).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인터넷 패션시장세분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2007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2008).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검색일 2008, 11. 3, 자료출처 http://www.nida.or.kr/
  30. 2008년 연간 및 4/4분기 전자상거래 및 사이버 쇼핑 동향. (2009).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9, 4. 13, 자료출처 http://www.kosis.kr/
  31. 2008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2008, 11).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검색일 2009, 4. 13, 자료출처 http://www.nida.or.kr/
  32. Natter, M., & Feurstein, M. (2002). Real world performance of choice-based conjoint model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37, 448-458 https://doi.org/10.1016/S0377-2217(01)00147-3
  33. Vermeulen, B., Goos, P., & Vandebroek, M. (2008). Models and optimal designs for conjoint choice experiments including a no-choice o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5, 94-103 https://doi.org/10.1016/j.ijresmar.2007.12.004

피인용 문헌

  1. Comparative Experimental Research on Product Evaluations and Approach Behaviors of Utilitarian and Hedonic Clothing in On-line and Off-line Settings vol.35, pp.6, 201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6.635
  2. The Analysis of Previous Domestic Online Fashion Store Studies vol.14, pp.5, 2012, https://doi.org/10.5805/KSCI.2012.14.5.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