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ology for Processing In-Vehicle Traffic Data in Wireless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nd Experimental Evaluation

무선통신 기반 교통정보시스템의 차내 교통정보 가공기법 개발 및 현장적용성 평가

  • 박준형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강경표 (한국교통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 김태형 (한국교통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Collection of invaluable real-time traffic data becomes available under 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s (UTSN). Various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utilize such useful data for deriv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This study presented a novel concept of decentralized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to process traffic data which are obtained from inter-vehicle communications under the UTSN. In addition, an experimental evaluation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using probe vehicle data. Predictive travel times were estimated and evaluated for the feasibility investigation. Technical issues were derived and discussed to fully implement the proposed system. The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guideline in designing better next-generation traffic information systems.

기술 및 환경적 요인으로 수집이 어려웠던 다양한 교통자료의 수집이 가능해져 보다 다양하고 유의미한 교통정보의 생성과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퀴터스 환경기반의 교통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역할을 설명하고 차내단말기에서 교통정보 생성을 위한 자료처리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자료의 수집, 정보생성, 무선통신을 통한 송수신, 수신정보와 생성정보의 융합을 통한 저장 등의 과정으로 구성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실제 수집한 개별차량 주행궤적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론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인산업도로의 약 17km구간에서 20대의 Probe차량이 주행하며 수집한 개별차량주행궤적자료를 이용하여 구간통행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구간정보의 생성 및 평가는 구간 내에 존재하는 차량들의 속도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구간에 진입하는 차량의 실제 통행 시간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전체 분석대상구간을 2개, 4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추정된 구간통행시간의 정확도는 90%내외로 산출되었다. 또한, 유비퀴터스 환경 기반 교통정보시스템이 현장에 적용 될 경우 무선통신, 교통환경, 정보생성방법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수집한 실제자료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된 차내단말기에서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론과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비퀴터스 환경기반의 교통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 및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M. Chen and S. I. J. Chein, "Determining the number of probe vehicles for freeway travel time estimation by microscopic sim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19, no. 00-1334, pp. 61-68, 2000. https://doi.org/10.3141/1719-08
  2. M. Chen and S. I. J. Chein, "Dynamic freeway travel-time prediction with probe vehicle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68, no. 01-2887, pp. 157-161, 2001. https://doi.org/10.3141/1768-19
  3. C. A. Quiroga and D. Bullock. "Travel time studies with global position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 integrated methodolog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6, no. 1/2, pp. 101-127. Feb. 1998. https://doi.org/10.1016/S0968-090X(98)00010-2
  4. 최기주, 신치현, “GPS와 GIS를 이용한 링크통행 시간 예측기법,”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97-207, 1998. 6.
  5. 정연식, 최기주, “GPS probe 및 루프 감지기 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행시간추정 알고리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97-116, 1999. 8.
  6. 김영찬, 김태용, “검지자료합성을 통한 도시간선 도로 실시간 통행시간 추정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6호, pp. 171-182, 2001. 12.
  7. 심상우, 최기주, “혼잡상황에서 링크미통과 GPS 프로브데이터를 활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기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5호, pp. 7-18, 2006. 8.
  8. H. Tanikella, B. L. Smith, G. Zhang, B. K, Park, and W. T. Scherer, "Simulating VII-enabled operations application traffic monitoring case stud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000, 2007.
  9. M. A. Sharafsaleh, J. VanderWerf, J. A. Misener, and S. E. Shladover, "Implementing vehicle-infrastructure iIntegration: real world challeng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086, pp. 08-1377, 2008.
  10. M. Zirker, S. Peirce, J. Lappin, M. Baltes, and Y. Gross, "Vehicle-infrastructure integration: Applications for public transit," TRB 87th Annual Meeting, 2008.
  11. M. Li, Z. J. Zou, F. Bu, and W. B. Zhang, "Application of vehicle-infrastructure integration (VII) data on real-time arterial performance measurements," TRB 87th Annual Meeting, 2008.
  12. J. Y. Lee and B. K. Park, "Evaluation of vehicle infrastructure integration (VII) based route guidance strategies under incident condi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086, 2008.
  13. H. S. Kim, A simulation framework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ubiquitous vehicular ad-hoc network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2007.
  14. 한국교통연구원, u-Transportation 체계종합기술개발, 국토해양부 교통체계효율화사업 u-Transportation 기반기술 개발 제3차년도 최종보고서, 2008. 6.
  15. 박준형, 홍승표, 오철, 김태형, 김원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돌발상황 발생 시 예측적 통행시간 추정기법,” 한국 ITS학회 논문지, 제8권, 제2호, pp. 14-26, 200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