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sona of Digital Space for Avatar Design

아바타 기획을 위한 디지털 공간의 페르소나

  • Lee, Dong-Eun (Kaywon School of Art & Design Division of Gameware)
  • 이동은 (계원디자인예술대학 게임웨어과)
  • Published : 2009.08.20

Abstract

The Digital Space that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with the imagination of utopia is entering upon the new phase no more playground than the space of cre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sona of digital space included the digital game and the virtual world. This paper compared with the persona formation processes -creation, activity, death phase- and interprete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digital game and virtual world. This is a valuable study for avatar design in digital game and virtual world.

컴퓨터 기술 발전과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교합으로 발생한 디지털 공간은 더 이상 놀이의 공간이 아닌 새로운 가치 창조의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공간을 유희성이 두드러지는 디지털 게임의 공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가상세계 공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공간에서 활동의 주체가 생성과 운용, 그리고 소멸시점에 따라 어떻게 페르소나를 형성하고 유지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공간의 아바타를 기획하는데 지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Keywords

References

  1. Pierre Levy, 전재연 역, 디지털 시대의 가상현실, 서울:궁리, 2002.
  2. 정기도,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pp.48-59, 책세상, 2000.
  3. Janet Murray, 한용환, 변지연 공역,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p.130, 안그라픽스, 2001.
  4. Waskul, Dennis D., “The Role-playing game and the game of role-playing:the Ludic self and everyday life”, Williams, Patrick & Hendricks, Q. Sean edit, Gaming as Culture, North Carolina:McFarland & Company, 2006.
  5. 한혜원, “디지털 게임의 다변수적 서사 연구”, pp.171-173,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8.
  6. Nephew, Michelle, “Playing with Identity : Unconscious Desire and Role-Playing Game”, Gaming as Culture, McFarland & Company, 2006.
  7. Meadows, Mark S,, I, Avatar : The Culture and Consequence of Having A Second Life, New Readers, 2008.
  8. Johan Huizinga, 김윤수 역, 호모 루덴스, p.19-28, 까치, 1995.
  9. Katie Salen, Eric Zimmerman, Rule of Play, p.94, MIT Press, London, 2003.
  10. 이동은, “가상세계(Virtual world)의 장소성 획득을 위한 스토리텔링”, p.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석사학위논문, 2007.
  11. Roser Callois, 이상률 역, 놀이와 인간 : 가면과 현기증, 서울:문예출판사, 1994.
  12. Fine, Gary Allen., “Shared Fantasy: Role-Playing Games as Social Worlds”, p.4,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13. 오세정, 신화, 제의, 문학:한국 문학의 제의적 기호작용, pp.63-64, 제이앤씨, 2007.
  14. Espen Aarseth, “Quest Games as Post- Narrative Discourse”, pp.361-376, Narrative Across the Medi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4.
  15. http://cafe.naver.com/gameware/122
  16. http://blog.neilsen.com/nielsenwire/consumer/world-of-warcraft-playstation-2-continue-most-played-gaming-trend/
  17. Hoffman, D. L., Novak, T. P.,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 conceptual foundations”, pp.50-68, Journal of Marketing, 60, 1996. https://doi.org/10.2307/1251841
  18. http://blog.naver.com/xevious7?Redirect=Log&logNo=100001694683
  19. http://tbfldk.egloos.com/1857253
  20. http://game.chosun.com/site/data/html_dir/2005/12/14/20051214000006.html
  21. www.sera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