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ree Dimension Landscape Impact Using Intelligent Spatial Data

지능형공간정보를 이용한 3차원 경관 영향 분석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양승룡 (여주대학 인테리어디자인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A landscape represents a part of the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nature, artificial factors, and human living condition, and is now emerging as the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national land. However, due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based land businesses during the past, environment-friendly and nature-friendly development was not realized so that the development considering the landscape of downtowns and highlands was not achieved as well. Thus, in this study, targeting the area in which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are being Intelligent Spatial Data, an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imulation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realistic landscape impact could be analyzed and the consequential problems by th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were easily figured out.

경관은 자연 인공요소 및 인간의 생활상 등으로 이루어진 일단의 지역환경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의 국토 개발과 보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급속한 경제 성장과 개발 중심의 국토 사업으로 인하여 도심 및 산지에 대한 경관을 고려한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개발 및 복구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개발 및 복구 전 후의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현실적인 경관 영향 분석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개발 및 복구에 따른 문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관법, 제정 2007.5.17, 법률 제 8478호
  2. 국토지리정보원 (2007), 다차원공간정보 활용기술 개발 연구
  3. 산지관리법, 제정 2002.12.30 법률 제 6841호
  4. 유복모 (2002), 디지털측량공학(제2판), 박영사
  5. 이현직 (2008), 다차원공간정보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 제작 방안,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3호, pp. 241-253
  6. 이현직, 유지호, 구대성, 강인구 (2008a), 3차원 도시모델 생성을 위한 고해상도 실감정사사진 제작 방안,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401-405
  7. 이현직, 양승룡, 이규만 (2008b), 항공레이저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노천광산 생태복원 모니터링, 한국지형공한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6권, 제 4호, pp. 101-107
  8. 최병길 (2002), 수치사진측량 및 GIS에 의한 도시경관 시뮬레이션,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0권, 제 3호, pp. 323-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