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Capital and Social Conflicts in Korea: The Multiple Facets of Social Capital

한국의 사회적 자본과 갈등: 사회적 자본의 다면적 속성에 대한 재조명

  • Received : 2008.10.08
  • Accepted : 2009.06.30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how multiple facets of social capital in Korea affects social conflict. The notion of social capital is composed of several elements including (1) social trust in generalized others (2) confidence in public sector fairness and the principles of democracy (3) social networks and closures and (4) community spirit and collective norms. We particularly examine how these multipl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ffect an individual`s tendency of social conflict orientation. The findings address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an individual, who trusts generalized others in a society, is less likely to be exclusive and conflict-oriented. Second, the more an individual has confidence in the efficacy of democratic processes and public sector fairness, the more (s)he is likely to be social integration oriented. When an individual, in contrast, gives strong support to a particular party (or government in power), the person is more likely to be conflict oriented. Third, an individual who mobilizes exclusive social closures to solve a problem is more likely to be conflict oriented. However, an individual who maintains a variety of inclusive social networks is more likely to be social integration oriented. Finally, the internalization of collective norms does not affect directly the tendency of individual's social conflict orientation. Increasing social capital at the individual level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societal level conflict resolutions. Rather, building extensive social closures based on strong family or hometown ties, school connections, political interests has detrimental effects on social integration and conflict resolutions. More, constructive social integration in a society requires higher level of open social networks, consistent administrative and democratic procedures, and social trust in generalized others.

본 연구는 다원화된 한국사회의 사회통합 및 갈등해소를 위한 방안을 사회적 자본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1) 일반적 타자에 대한 신뢰, (2) 국가 공공영역에 대한 신임, (3) 연줄망과 연결망을 포괄하는 네트워크, (4) 공동체 의식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자본이 잠재된 갈등의식을 나타내는 갈등잠재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일반적 타자에 대해 신뢰가 높은 사람은 사회통합 지향적 경향을 보여 주었다. 둘째, 국가 공공영역의 절차적 공정성 및 민주적 운영을 신뢰하고 있는 사람들 역시 사회통합 지향적 경향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특정 정권에 대해 신뢰가 높은 사람은 오히려 갈등 지항적 경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폐쇄적 연줄망을 활용하는 사람들은 갈등지향적인 반면, 개방적 연결망을 활용하는 사람들은 사회통합 지향적이었다. 넷째, 공동체규범의 내면화 정도는 사람들의 사회 통합적 지향성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원화된 한국사회의 실질적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자본은 학연, 혈연 지연과 같은 전통적인 폐쇄적 연결망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익명의 일반적 타자들에 대한 신뢰와 느슨하게 연결된 개방적 연결망에 기반해야 한다. 또한 실질적 사회통합은 공정한 국정운영 시스템에 대한 신임에 기초해야 하는 것이지, 특정 기관 혹은 정파에 대한 맹목적 신뢰에 기초해서는 안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