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s of Each Category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and Solutions

경산자인단오제 연행의 분야별 문제와 종합적 개선방안

  • Received : 2009.06.30
  • Accepted : 2009.07.17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a local festival of Yeongnam that was initially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44 "Hanjanggun Nori" in 1971 and finally became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n 2007. At first, few parts of it were designated for preservation and it was succeeded as a whole without connections between each part. Problems also rise from the fact that it has not been closely studied.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mostly classified into five parts: Keungut, Yeowonmu, Hojanggut, Hanmyoje, and Jainpalgwangdae. This study has closely discussed each part as follows: 1. Keungut 1) Process and Contents of Keungut - Characteristics of Gut in Daegu and Gyeongsan 2) Presence of Performers that can Execute Traditional Gut of Local Area 3) Problems with the Name of Keungut - Ex: 'Hanjanggungut' or 'Keungut' 4) Problems of Dano Festival without Parts to Summon and Send off Spirits before and After Keungut and Restoration Measures 2. Yeowonmu 1) Essence of Yeowonmu and Yeowonhwa 2) Problems with the Mass Game of Hundreds of High School Girls 3) Origin and Succession of Yeowonmu 3. Hojanggut 1) Changes in Characters of Hojanggut 2)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janggut 3) Problems with the Name and Characteristics of Hojanggut 4. Jainpalgwangdae Nori 1) Similarity with Newly Created Shows 2) Problems with the Name of Palgwangdae 3) Difference with the Composition of Other Mask Dances 4) Dances and Movements Distinguished from Other Mask Dances in Yeongnam The following are the solutions suggested for Gyeongsan Jain Dano Festival. First, for the restoration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Dano festivals and Byeolsinje of nearby areas with clear traditions could be benchmarked. Second, the major content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Hanjanggungut,' and it has to be the leading content of the festival. Third, the structural principle of Korean festival must be adopted and the process and principle must correspond to those of other traditional shows. Fourth, as Gyeongsanjain Dano Festival is the comprehensive form of art, folk, and festival, each part must be closely related in a well-planned scenario. Fifth, Intangible talents and successful training must be widely acknowledged for successful transmission and responsible performances. Sixth, traditional festivals must be restored along with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various festival repertories and spectacles such as tour programs and experiential tours that contribute to local economy.

경산자인단오제는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 '한장군놀이'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경산자인단오제'로 명칭이 확대 변경된 영남지방의 지역축제이다. 그러나 처음에 일부분만 지정함으로 말미암아 각 분야별로 연결성이 없는 혼합체처럼 전승되었고, 고증에서도 소외되어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경산자인단오제의 주된 분류는 큰굿, 여원무, 호장굿, 한묘제, 자인팔광대 등 5분야로 나뉘어지는데, 이제 분야별로 문제를 살피고자 한다. 1. 큰굿 1) 큰굿의 절차와 내용의 문제 : 대구·경산지역 굿의 특성 2) 현재의 굿연행자 외에 지역 전통굿을 연행할 수 있는 무녀의 유무 3) '큰굿'의 명칭의 문제 : 예, '한장군굿' 아니면 그대로 '큰굿' 4) 큰굿 전후에 영신과정과 송신과정이 없는 단오제의 문제와 복원방안 2. 여원무 1) 여원무와 여원화의 본질 2) 여고생 수백명이 하는 매스게임의 문제 3) 여원무의 기원과 전승에 대한 고형논의 3. 호장굿 1) 호장굿의 배역구성의 변천과정 2) 호장굿의 동선구조와 성격 3) 호장굿의 명칭과 성격의 문제 4. 자인팔광대놀이 1) 창작한 마당극과 유사성 문제 2) '팔광대'라는 명칭 문제 3) 일반적인 탈놀이의 진행구조와 다른 점 4) 춤사위와 몸짓이 영남지방 탈춤과 다른 특성 이상과 같은 경산자인단오제 연행의 종합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산자인단오제의 복원은 전통성이 확실한 인접 단오제와 별신제의 연행방식을 벤치막킹(bench-marking)하자는 것이다. 둘째, 경산자인단오제의 중심 콘텐츠(contents)는 '한 장군굿'으로 축제의 주도 역할은 굿이 담당해야 한다. 셋째, 한국 축제의 구조적 원리를 수용하고, 연행방식과 연행원리를 전통 연행물과 일치시켜야 한다. 넷째, 경산자인단오제는 예술과 민속과 축제가 종합적이고 총체성을 띤 문화제인 만큼, 각 분야를 연계하고 유기적으로 연행 시나리오(scenario)를 재구성하자는 것이다. 다섯째, 올바른 전승과 책임있는 연행을 위해서는 분야별 예능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를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 여섯째, 전통축제의 재현과 더불어 다양한 축제 레퍼토리(repertory)를 찾아내고 개발하고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관광상품 개발과 체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스펙터클(spectacle)화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