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urrent Volar Rotatory Disloca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Finger in Judo Player - A Case Report -

유도 선수에서 발생한 수지 근위 지관절의 재발성 전방 회전 탈구 - 1례 보고 -

  • Hwang, Jung-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Osan Hankook Hospital) ;
  • Chung, Duke-Wh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Han, Chung-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황정철 (오산 한국병원 정형외과) ;
  • 정덕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한정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Volar rotatory disloca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PIP) of the finger is rare. We report a female judo player who had volar rotatory dislocation of the PIP joint of the middle finger. She had dislocation of PIP joint total 4 times. At operation, the central tendon was identified as being distension, with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ruptured. The ruptured ulnar collateral ligament was interposed within the joint. The ruptured ulnar collateral ligament was repaired and extensor expansion was repaired. At last follow-up, she didn't have recurrent dislocation during judo. Accurate diagnosis, early intervention and progressive rehabilitation of this injury are very important as other dislocations.

수지 근위 지관절의 전방 회전 탈구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저자들은 여자 유도 선수에서 발생한 수지 근위 지관절의 전방회전 탈구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24세 여자 유도 선수로 총 4번의 근위 지관절 전방 탈구가 발생하였다. 수술 시 회전 손상으로 파열된 척측 측부 인대와 파열 없이 늘어져 있는 중앙 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적 치료로 파열된 척측 측부 인대 봉합술과 중앙 건과 측부대 사이를 봉합하여 근위 지관절의 배측부를 강화 시켜주었다. 술 후 운동시에 탈구는 다시 발생하지 않았다. 수지 근위 지관절의 전방 회전 탈구는 매우 드문 손상이지만 다른 탈구처럼 조기 진단과 치료, 그리고 단계적인 재활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