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 developing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Tinnitus - a Focus on Methods of Outcome Measurement

프로토콜 : 이명에 대한 무작위대조임상시험의 체계적 문헌 고찰 - 결과 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 Lee, Dong-Hyo (Op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Wonkwang Univ. Sanbon Oriental Medical Center) ;
  • Lee, Jung-Hun (Otolaryngology, Wonkwang Univ. Sanbon Medical Center) ;
  • Oh, Yong-Leol (Gastroenterology, Wonkwang Univ. Sanbon Medical Center) ;
  • Kim, Nam-Kwen (Op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Wonkwang Univ. Sanbon Oriental Medical Center)
  • 이동효 (원광대학교 군포 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이정헌 ;
  • 오용열 ;
  • 김남권 (원광대학교 군포 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목적 :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은 Protocol 개발과 Review로 구분되며, 본 연구는 국내외 의학논문 검색엔진에 등재된 이명증의 RCT 문헌들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추출하는 Systematic Review를 진행하기 위한 Protocol의 개발을 목적으로 함. 방법 : 문헌고찰을 위한 각 과정들 및 연구에 필요한 사전 결정 인자 들을 연구자 회의와 체계적 문헌고찰 protocol 개발 방식에 근거하여 개발함. 결과 : Outcome measurement의 추출을 위한 Systermatic Review의 진행에 적합한 database의 선정, 각 database에 적합한 검색식, 검색기간, 논문의 선정 및 제외기준,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ator, outcome) form의 개발, 질 평가의 근거기준, 각 연구자의 역할, data의 취합 및 분석 방법 등의 결과를 개발하고 결정하였음. 결론 : 이상에서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Outcome measurement 추출을 위한 Review를 진행하고 차후 Review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임.

Keywords

References

  1. Henry JA, Dennis KC, Schechter MA. General review of tinnitus: prevalence,mechanisms, effects, and management. J Speech Lang Hear Res. 2005;48:1204-1235. https://doi.org/10.1044/1092-4388(2005/084)
  2. Heller AJ.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of tinnitus. Otolaryngol Clin North Am. 2003;36:239-248. https://doi.org/10.1016/S0030-6665(02)00160-3
  3. Dobie RA. Depression and tinnitus. Otolaryngol Clin North Am. 2003;36: 383-388. https://doi.org/10.1016/S0030-6665(02)00168-8
  4. Ahmad N, Seidman M. Tinnitus in the older adult: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ptions. Drugs Aging. 2004;21:297-305. https://doi.org/10.2165/00002512-200421050-00002
  5. Jastreboff PJ. Phantom auditory perception (tinnitus): mechanisms of generation and perception. Neurosci Res. 1990;8:221-254. https://doi.org/10.1016/0168-0102(90)90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