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마을 공용공간의 공간 구성 형식에 관한 연구 - 안솔기, 둔철, 갈전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Type of Common Space in Eco-Village - Based on Ansolgi, Duncheol, Galjeon Village -

  • 송정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정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이효원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투고 : 2009.02.02
  • 심사 : 2009.04.14
  • 발행 : 2009.04.30

초록

Eco-village is emerging as one of housing styles in the modern age. The common space in Eco-village uses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while residents appear to aspire to a community. The common space in Eco-village offers a place of interchange and interaction for both visitors and residents as a transit area connecting dwelling units. It also forms the sense of community and serves as a space that builds friendly relations among residents. However, there seems to be a lack of research compare to its various roles and importance for this common space, which is an significant factor in establishing Eco-village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 data by creating a layout drawing of Eco-village an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boundary and practical use of common space through case studies on villages. This will serve as actual data in designing common space which would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Eco-village plan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정은, 집합주택의 실내외에 접한 공용공간 구성과 그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10호, 2006
  2. 박정은, 집합주택에서 실내 공용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3권 제11호, 2007
  3. 박현정, 공동주택 공용공간 이용행태 및 만족도 조사연구, 울산대학교 석사논문, 2006
  4. 서귀숙, 도시 집합주택 공용공간의 구성형태와 활성화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12호, 2003
  5. 송정석, 생태마을의 계획요소와 거주자 의식변화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2008
  6. 윤일형, 우리나라 생태마을의 평가 및 조성기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논문, 2008
  7. 이남숙, 주거단지에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용 공간 배분의 연구, 서울산업대 석사논문, 2006
  8. 장회익 외, 비평, 생각의 나무
  9. http://psae.or.kr - 대안교육연대
  10. http://www.educovillage.com - 에듀코빌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