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patial Analysis of Transi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Developing Transit Oriented Urban Environments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 박세훈 (국토연구원 도시연구실) ;
  • 손동욱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 이진희 (국토연구원 도시연구실)
  • Received : 2008.12.29
  • Accepted : 2008.12.30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Restructuring urban land use patterns from the motor-oriented to transit-oriented ones is a contemporary trend in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It is expected that transforming urban land use patterns to be transit and walking friendly would resolve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heavy energy consumptions, air pollutions, and traffic congestions. Korean cities have much potentials for developing transit-oriented urban environments in terms of its density and civil service levels, but the level of transit usage levels and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cities are not good enough for supporting such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transit center areas and identify the problems to be solved to create transit-oriented urban environments. Case studies of four urban transit center area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transit center areas and identify their problems. Development density, land use diversity, walk-ability and transit connectivity were the primary feature of interests.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공간구조를 자동차 중심형 에너지 다소비형에서 대중교통과 보행을 우선하는 형태로 재편하여 대중교통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에너지소비를 줄이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는 미국과 유럽의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로 개발되어 있고 대중교통서비스도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구조로의 발전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선진국의 주요도시들에 비해 대중교통수송분담률이 낮고 도시환경의 질도 상대적으로 낮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하여 풀어 나가야 할 도시구조상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하여 토지이용밀도, 토지이용복합성, 보행편의성, 대중교통연계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도시들이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로 전환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무총리실(2008) 기후변화대책기획단.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2. 박소현(2006) 근린주구 보행활성화를 위한 보행친화적 환경요소의 계량화. 국토연구원.
  3. 서울특별시(1995) 서울교통특별대책, 교통백서.
  4. 성현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pp. 19-30.
  5. 성현곤, 박지형, 김동준(2007)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분석 및 유도기법 적용방안. 교통연구원.
  6. 임희지(2007) 서울시 대중교통 역중심 생활권 형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Cervero, R. and Gorham, R. (1995).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No. 2, pp. 210-225.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4
  8. Calthrope, P.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9. Dittmar and Poticha (2004) Defin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The New Regional Building Block. in The New Transit Town: Best Practices i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Washington : Island Press.
  10. European Union (1990) Green Paper on the Urban Environment: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and Parliament COM(90) 218.
  11. Frank, L. and Pivo, G. (1995) Impact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466, pp. 44-52
  12. Messenger, T. and Ewing, R. (1996)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sun bel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552, pp. 145-153. https://doi.org/10.3141/1552-20
  13. Sung, H.G. (2005) Lessons from experiences of the US TOD planning and policies. 국토계획, Vol. 40, No. 5. pp. 205-223.
  14. The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Transit Development Corporation (2004) Th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Report 102. Tcrp Oversight and Project Selection Committee (as of January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