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ilding a Model to Estimate Pedestrians' Critical Lags on Crosswalks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의 임계간격추정 모형 구축

  • 김경환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
  • 김대현 (전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익수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이덕환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8.10.01
  • Accepted : 2009.01.07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critical lag of crosswalk pedestrians is an important parameter in analyzing traffic operation at unsignalized crosswalks, however there is few research in this fiel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o estimate the critical lag. Among the elements which influence the critical lag, the age of pedestrians and the length of crosswalks, which have fuzzy characteristics, and the each lag which is rejected or accepted are collected on crosswalks of which lengths range from 3.5 m to 10.5 m. The values of the critical lag range from 2.56 sec. to 5.56 sec. The age and the length are divided to the 3 fuzzy variables each, and the critical lag of each case is estimated according to Raff's technique, so a total of 9 fuzzy rule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rules, an ANFIS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model to estimate the critical lag is built. The predictability of the model is evaluated comparing the observed with the estimated critical lags by the model. Statistics of $R^2$, MAE, MSE are 0.96, 0.097, 0.015 respectively. Therefore, the model is evaluated to explain the result well. During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critical lag increases rapidly over the pedestrian's age of 40 years.

횡단보행자의 임계간격은 비신호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운영분석에 중요한 파라메타이나 국내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가 빈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의 목적은 횡단보행자의 임계간격 추정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임계간격 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퍼지적 성격을 가진 보행자 연령과 횡단보도의 연장, 거절되거나 수락되는 간격이 연장 3.5m에서 10.5m 범위의 행단보도에서 수집되었다. 이들 횡단보도에서의 임계간격은 2.56초에서 5.56초 범위의 값을 보였다. 연령과 횡단보도 연장이 각각 3개의 퍼지변수로 구분되고 각 경우에 대하여 Raff의 기법에 의한 임계간격이 추정되어 총 9개의 퍼지규칙이 설정되었다, 이들 규칙에 기초하여 횡단보행자 임계간격을 추정할 수 있는 ANFIS모형이 구축되었다. 모형의 예측력은 실측치와 추론치를 비교함으로써 평가되었다. 결정계수 $R^2$와 오차 및 분산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평균절대 오차(MAE) 및 평균제곱근 오차(MSE)가 각각 0.96, 0.097, 0.015로 나타나 본 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보행자의 연령 40세 이후 임계간격의 증가율이 높음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일환(2005) 뉴로 퍼지와 뉴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도 1일 급수량 예측.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 건교부(2001) 도로용량편람. 사단법인 대한교통학회.
  3. 김경환 등(2006) 강우 및 밝기에 따른 신호교차로 포화차두 분석에의 적응 뉴로-퍼지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D호, pp. 171-178.
  4. 김상구(2003) 중앙분리대 대기공간이 있는 비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횡단용량 모형식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4호, pp. 103-111.
  5. 김찬호(2002) 임계간격 추정기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6. 도로교통안전협회(1997) 교통신호기 설치기준 연구. p. 23.
  7. 도철웅(2004) 교통공학원론(상). 청문각.
  8. 박종진 등(2001) 퍼지 제어시스템. 교우사.
  9. 서의훈(2002) SPSS 10.0 한글판을 이용한 SPSS 통계분석. 自由아카데미.
  10. 오창석(2000) 뉴로 컴퓨터. 내하출판사.
  11. 원제무(1999) 도시교통론. 박영사.
  12. 이광용 등(1997) 퍼지이론 및 응용 I, II. 홍릉과학출판사.
  13. 이슬기(2003) 임계간격을 이용한 비신호 교차로 시거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5호, pp.97-110.
  14. 이현엽 등(1999) MATLAB을 이용한 퍼지-뉴로. 도서출판 아진.
  15. 장덕명(1998) 보행자 횡단보도 설치기준에 과한 연구. 연구보고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98-16-345.
  16. 최경조(2001) 유전 알고리즘과 퍼지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퍼지규칙의 자동 생성.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7. Al-Ghamdi, A.S. (1978) Entering headway for through movement at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s, TRR, pp. 42-47.
  18. Branston, D. (1979) Some factors affection the capac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s,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Vol. 20, pp. 390-396.
  19. Fuzzy Logic Toolbox for Use with Matlab User's Guide Version 2.0 (2000) The MathWorks, Inc.
  20. Hahn, B.D. 저, 황성호 역(2005) (엔지니어를 위한) MATLAB 엣센스. 아진.
  21. Hines, J.W. (1997) Matlab Supplement to Fuzzy and Neural Approaches in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Inc.
  22. Jang, J.R.S. (1997) Neuro-fuzzy and Soft Computing : A computational Approach to Learning and Machine Intelligence. Englefood Cliffs, NJ: Prentice-Hall.
  23. Raff, M.S. and Hart, J.W. (1950) A volume warrant for urban stop signs, The Eno Foundation for Highway Traffic Control, Saugatuck, Conn., U.S.A.
  24. Salter, R.J. (1980) Highway Traffic Analysis and Design. Macmillan Education, pp. 156-162.
  25. Troutbeck, R.J. and Werner Brilon (2002) Chapter 8: Unsignalized Intersection Theory, Revised Monograph on Traffic Flow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