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철도노선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환경항목 정량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ajor Environmental Effecting Factors for Selecting the Railway Route

  • 김동기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건설공학과) ;
  • 박용걸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건설공학과) ;
  • 정우성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투고 : 2008.08.25
  • 심사 : 2009.10.19
  • 발행 : 2009.11.30

초록

철도는 다른 육상교통수단보다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예비타당성조사와 철도노선 선정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에 관한 문제들이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철도노선 선정에서는 지형적인 특성 그리고 시설물의 관리와 운영을 중심으로 선정되고 있다. 철도노선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관련 문제에 대해서 본 연구는 집중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철도 및 환경전문가 그리고 철도 노선선정에 관련된 전문가 의견을 검토 분석하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항목의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환경 친화적인 철도노선을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대안이 비교되어야 하고 각 대안의 평가는 환경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계층구조를 이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고 객관적으로 결론 내리는데 용이한 AHP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전문가에 의한 환경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기본값으로 정하고 GUI를 활용한 정량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The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friendly aspect of the railway system would be superior to other on-land ransportation systems. In a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tage and selection of optimal railway route, the energy efficiency and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 are usually considered. For the selection of optimal railway route, geographical features and facility of management are generally considered. Environment effect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environment-friendly railway router are focused and studied in this paper. In this study, various analysis of opinion of specialists (railway, environment, transport, urban planning, survey) and the guideline for constr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railway were accomplished. From these results of various analysis, 7 major categories (topography/geology, flora and fauna, Nature Property, air quality, water quality, noise/vibration, visual impact/cultural assets) were extracted. To select environment friendly railway route, many alternatives should be compared optimal route must be selected by a comprehensive assessment considering these 7 categories. To solve this problem, the selected method was AHP which simplifies the complex problems utilizing hierarchy, quantifying qualitative problems through 1:1 comparison, and extracting objective conclusions by maintaining consistency. As a result, a GUIbased program was developed which provides basic values of weighted parameters of each category defined by specialists, and a quantification of detailed assessment guidelines to ensures consistenc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관중(2007) 도로계획 및 설계시 최적노선대 선정을 위한 전산모형 적용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 김동기(2006) 해외철도노선 선정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322-325.
  3. 김동기(2007) 환경친화적인 철도노선선정에 대한 평가 기법사례,대한토목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pp. 961-964.
  4. 김동기(2009) 환경친화적 철도노선대 선정을 위한 주요 환경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31권 제2호 pp. 132-138.
  5. 김동기(2009) 환경친화적인 철도노선선정을 위한 주요환경인자정량화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2권 1호 pp. 144-150.
  6. 김성희 외 2인(2006) 의사결정 분석및 응용, 영지문화사
  7. 정인수(2007) 퍼지추론과 AHP기법을 이용한 택지개발 사업의 환경친화적인 대안평가 방법론, 공학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8. 조근태 외 2인(2005)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형출판사.
  9. 최준규(2002) 환경친화적 도로노선 선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0. 한국개발연구원(2002) 교통부분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의 환경비용추정 연구.
  11. 한국철도시설공단(2006)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조사 연구용역,pp. 639-686.
  12. 한국철도시설공단(2007) 환경친화적 철도설계기법연구 용역.
  13. 한국철도시설공단(2007) 환경친화적인 철도설계편람.
  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 철도건설사업의 주요환 경영향에관한 연구.
  15. 환경부, 건설교통부(2007) 환경친화적인 철도건설지침(안).
  16.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 http://eiass.go.kr
  17. 환경정책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18. Expertchoice사, Http://www.expertchoi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