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균형성과지표를 활용한 사회기반시설 자산관리 조직 개선 방안

Organizational Refor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using Balanced Score Cards

  • 채명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연구부) ;
  • 박하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주)포스코건설) ;
  • 이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이건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 투고 : 2009.06.08
  • 심사 : 2009.10.08
  • 발행 : 2009.11.30

초록

사회기반시설의 유지관리는 시설물관리(Facility Management)에서 자산관리(Asset Management)로 발전되고 있다. 자산관리를 통하여 인프라의 노후화를 예측하고 사전적 대응을 통하여 고장/붕괴를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유지관리 예산을 절감 할 수 있다. 인프라 자산관리는 엔지니어링 기술뿐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수행하기 위한 조직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프라 자산관리 수행에 있어서 시설물관리 주체가 자산관리를 습득하고 수행하기 위해서 추구해야 할 목표들을 핵심성공요인과 주요평가지표로 분류하여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업무체계를 위한 조직의 재편은 명확한 변화의 비전과 목표, 그리고 변화 전략이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입체적 성과 평가로 넓게 사용되고 있는 균형성과지표(Balanced Scorecard)를 이용하여 조직 발전의 지표로 사용하고자 한다. 성과지표는 폭넓은 자료 분석과 수차례의 전문가 워크샵을 통하여 개발되어 법제도 등의 환경이 갖추어지면 조직에 따른 약간의 사용자화를 통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균형성과지표(BSC) 폭넓은 선행연구 분석 및 국내외 현황 분석을 통하여 신뢰가능 한 균형성과지표(BSC)의 개발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Management of social infrastructure has been advanced from facility management (FM) to asset management (AM), which adopts the aggressive and proactive methods in predicting the deterioration of infrastructure, prevents failures, and eventually saves maintenance cost.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s not a simple engineering technique, but it is a new paradigm evolved from facility management practices. To implement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successfully, organizational reform is very important. This paper suggests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 to implement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for facility managers of government owned social infrastructures such as roads and bridges. Reorganizing the facility management group requires new vision, objectives, strategies for the paradigm-changing asset management. This paper uses Balanced Score Card (BSC) which is a proven method in measuring and setting new objectives for an organization. Once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reviewed repeatedly by facility managers through experts workshops, developed BSC can be used in practice.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robust BSC scoring method through in depth literature reviews and investigation of asset management practic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정식, 박경훈, 임종권(2006) [건설기술 및 관리동향] 토목부분 -유지관리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에 관하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2-31.
  2. 구본학(2007) 공공시설물의 LCC평가기준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pp.413-430.
  3. 구선숙(2005) BSC의 단계적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대학원.
  4. 권순석 박문서, 이현수, 안창범(2007) 건설조직의 지식경영 성과측정.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pp. 868-871.
  5. 김경래, 유일한(2006)[건설기술 및 관리동향]건설산업의 성과측정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5-30.
  6. 김정렬, 채명진, 박재우, 이규, 조문영(2008) 사회기반시설물 자산관리에 RFID/USN 기술의 도입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pp. 779-782.
  7. 문현석, 권방성, 홍태훈, 현창택(2008) 교육시설물 자산관리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8권, pp. 227-232.
  8. 박경모, 김창덕, 박태근, 전재열, 김옥규(2004) 공동주택 관리비부과방식 실태조사를 통한 비용현황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1호, pp. 206-211.
  9. 박찬식, 김현준, 전용석, 전재열, 김옥규(2004)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영성과측정모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2호, pp. 401-404.
  10. 박철우, 박경훈, 황윤국, 공정식, 임종권, 안대홍(2008) 자산관리기법의 교량시설물의 적용에 있어 성능평가지표의 정의 및 역할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8권, pp. 401-404.
  11. 백하규, 김승진, 이찬식(2005) 건축물 유지관리성능 향상을 위한설계,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3권, pp.111-119.
  12. 박환표, 홍태훈, 진경호(2008) BSC를 이용한 건설R&D 스타기술의 성과분석 방법론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pp. 194-203.
  13. 신규철(2002) 균형성과지표(BSC) 개념의 건설기업 성과평가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제3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7-34.
  14. 손우경, 김장영, 한충희, 김선국(2002) 교육시설물 유지관리 업무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3권 제1호, pp. 567-570.
  15. 이경실(2006) 공기업의 경영성과평가를 위한 BSC 도입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16. 이교선(2007) 공공시설물 자산관리 현황 및 국내 도입 전략. 제1회 사회기반시설 국가자산관리 국제심포지움, 대한토목학회.
  17. 채명진, 이규, 김정렬, 조문영(2009) 국내외 사회기반시설물 자산관리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발전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2호, pp. 55-64.
  18. 전익성, 손정락, 김경숙, 김재준(2004) Life-cycle Management를 활용한 공공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2호, pp. 55-63.
  19. 전익성, 손정락, 김경숙, 김재준(2004) Life-cycle Management를 활용한 공공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2호, pp. 55-63.
  20. 정형석, 채명진, 진경호(2008) 인프라자산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2호, pp. 17-20.
  21. 차희성, 김태경(2008) 건설 프로젝트 효율적 성과관리를 위한 핵심 지표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20-130.
  22. 최경찬(2002) BSC 성과평가시스템 국내 도입동향 및 사례연구.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공공시설물 내구성 증대를 위한 유지관리비용 산정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교통기술평가원, 건설교통부.
  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8) 도로, 철도 등 기반시설물 자산관리체계 도입방안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교통기술평가원,건설교통부.
  25. 행정자치부령 제348호(2006. 10. 17 제정) 지방자치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제19조.
  26. INGENIUM (2006)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Management Manual, INGENIUM, NAMS Group, New Zealand.
  27. Paul R. Niven (2005) 정부와 공공부문 BSC, 시그마인사이트.
  28. 27 Robert S, Kaplan (1998) 가치실현을 위한 통합지표 BSC., 한언.
  29. Kevin Young (2005) AUSTRALIAN PERSPECTIVE ON MANAGING WATER UTILITIES - Hunter Water case study. Hunter Water Corps.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0. Tsunokawa(2008) Asset Management : Lessons Learnt at ICMPA(2008) 제2회 사회기반시설 국가자산관리 국제심포지움, 대한토목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