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IETM for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Facilities

시설물의 효율적 재해정보관리를 위한 재해관리전자매뉴얼 구축 연구

  • 문현석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 강인석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공학연구원)
  • Received : 2008.11.17
  • Accepted : 2009.02.03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Because the current disaster management task is being processed by using a separated operation system and an insufficient information system by each division, construction facilities suffer great damage by disaster. This research has classified the disaster management business phase and information by each phase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and business process. Then, it has built a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breakdown structure for integrating of individual disaster information, and also established a standard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schema of disaster management electronic documents for a real-time utilization. The suggested methods in this research are verified by developing a manual system of electronic type. The disaster management IETM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the consistency for processing the disaster management tasks and the prevention of information omission. And it can be used as a electronic decision making tool for providing of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기존의 재해관리 업무는 각 부서별로 분산된 업무 체계 및 재해관리정보 누락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재해 발생시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해관리 정보 및 업무특성을 파악하여 재해업무 단계 및 단계별 정보를 분 하며, 재해관리 정보간 통합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재해정보분류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재해발생시 실시간 활용을 위한 재해관리 전자문서의 표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스키마(Schema)를 구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전자적 매뉴얼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제시된 방법론을 검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통합된 재해정보의 제공을 통해 재해관리업무 수행의 일관성 확보, 정보의 누락 방지 및 실시간적이고 종합적인 재해관리 정보제공을 위한 전자적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 문현석, 곽중민(2007) 건설공사 설계도서매뉴얼의 전자화절차구성 및 실무 적용효과 분석,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0권 제2호, pp. 103-111.
  2. 건설교통부,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공고 제2006-281호.
  3. 남경우, 서용철, 현창택, 구교진(2006) XML적용 철골공사 설계변경 프로세스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1호, pp. 64-72.
  4. 이주영, 김인한(2004) XML기반의 건설분야 설계정보의 표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6호, pp. 3-10.
  5. 정성윤, 김성진, 옥현, 나혜숙(2002) 도로 건설공사 설계문서 공통 DTD개발,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Vol. 29, No. 2, pp. 145-147.
  6. 정종현(2005) 데이터베이스와 XML에 기반한 건설프로젝트 기술문서 전자화,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6권 제4호, pp. 190-198.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4) 건설분야 전자매뉴얼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및 전자매뉴얼 개발.
  8. Mao, W., Zhu, Y., and Ahmad, I. (2007) Applying metadata models to unstructured content of construction documents: A viewbased approa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6, pp. 242-252. https://doi.org/10.1016/j.autcon.2006.05.005
  9. Campbell, D.A. (2000) Architectural construction documents on the web: VRML as a case study,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9, pp. 129-138. https://doi.org/10.1016/S0926-5805(99)00055-2
  10. Zhiliang, M., Heng, L., Shen, Q.P., and Jun, Y. (2004) Using XML to support information exchange in construction project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3, pp. 629-637. https://doi.org/10.1016/j.autcon.2004.0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