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istical Analysis on Non-Household Unit Water Use for Business Categories

비가정용수의 업종별 사용량 원단위 및 통계적 특성 분석

  • 이두진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 김주환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 김화수 ((주)도화종합기술공사)
  • Received : 2009.04.15
  • Accepted : 2009.06.09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Non-household unit water use for each type of business are estimated in this study. The business types are subdivided into forty based on nine categories by the national industrial standard classification, such as office, commerce, public bathing, public water use etc.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re applied to obta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between industrial water use data, surveyed in six cities including Nonsan, Seosan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Bureau and site area, employees number etc. for each detailed business area. As the proposed non-household unit water uses are compared with five surveyed data in USA, it is shown that almost of water uses per unit area are less than those in USA. Non-household unit water uses of 25% cumulative probability water use recommended as efficiency benchmarks among surveyed data in Korea are also less than those in USA. Especially, in the case of water use in school, the average and the range are similar results showing water use range between 0.4 and 6.2 ($l/m^2/day$) as liter per capita day per an unit area, also water use range between 11.9 to 64.0 (l/student/day) as liter per capita day per a person.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internal and exogenous affecting factors on non-household water use, it can be concluded that a unit area is most appropriate factor as a standard of non-household unit water use. In case of water use in educational business, the number of students including staffs is more correlated than site ares with water use for the settled water consumption tendency. Although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educational institutes, retail/wholesale store and restaurants are shown remarkable by the temperature as a representative factor, low correlations are shown in water use fluctuation in lodging house and hospital.

본 연구에서는 현재 업무, 영업, 욕탕, 공공용수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 비가정용수의 업종을 국가산업표준분류에 근거하여 9개 대분류 40개 중 소분류로 세분화하여 각 업종별 사용량 원단위를 도출하였다. 논산, 서산 등 6개 도시의 비가정용수 월별사용량자료와 통계청에서 조사하는 사업장별 산업서비스조사 자료를 토대로 각 업종별 사용량 원단위, 면적, 종업원 등의 상관관계분석, 세부업종별 분산분석 등을 수행하여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원단위 특성을 제시하였다. 비가정용수 주요업종의 사용량 원단위를 미국 5개 지역에서 조사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모든 업종에서 단위면적당 사용량이 미국에 비해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자료 가운데 효과적인 물사용량(Efficiency Benchmarks)으로 추천되는 누적확률 25%에 해당하는 값의 경우에도 우리나라 물사용량이 적었으며, 특히 학교의 경우 단위면적당 1일 사용량($0.4{\sim}6.2l/m^2/d$)과 학생 1인당 1일 사용량(11.9-64.0 l/student/d)의 평균값과 범위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가정용수의 용수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인자에 대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한 결과, 비가정용수사용량의 원단위 기준인자로서는 단위면적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widehat{타났으며, 다만 교육업의 경우 구성원의 물사용경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단위면적보다도 학생수(교직원포함})와 물사용량사이의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외부인자인 기온에 따른 각 업종별 물사용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학원업, 도소매업, 음식점업이 기온에 따라 물사용량 증감이 뚜렷하였고, 숙박업과 병원업은 기온과의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비가정용수의 합리적인 수요관리를 위해서 기존의 상수도통계에서 구분하고 있는 업종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러한 업종구분을 토대로 통계청의 산업서비스 조사자료와 지자체 수도요금부과자료를 이용하여 비가정용수의 세부업종별 물사용량을 추적하여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화수, 이두진, 김주환, 정관수(2008)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원단위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B호, pp. 595-601.
  2. 서재승, 김이태(2003) 주성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비가정용수 사용량 예측,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3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pp. 265-268.
  3. 심정욱, 손영숙, 백장선(2001) 수리통계학, 자유아카데미.
  4. 한국수자원공사(2008) 합리적인 용수수요예측을 위한 생활용수 추정모델 개발.
  5.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Research Foundation (2000)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end uses of water.
  6.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al and Heritage (2006) Water efficiency guide: office and public building.
  7. Stantec Consulting Ltd (2006) Greater vancouver regional district standardized ICI Water Audit Process.
  8.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U.S. Geological Survey (2005) Guidelines for preparation of state water-use estimates for 2005.
  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7) Study of potential water efficiency improvements in commercial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