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류와 충격파가 혼재한 해역의 3차원적 수리특성 분석

Identifying Three-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Sea Region Under Combined Tidal Current and Shock Waves

  • 투고 : 2009.01.20
  • 심사 : 2009.05.11
  • 발행 : 2009.07.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류와 충격파가 혼재한 해역의 흐름 특성을 3차원 수치모형(Princeton Ocean Model, POM)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1994년에 완공된 시화방조제의 끝막이 공사 동안 개방구간과 그 주변 해역의 흐름을 모의하기 위하여 POM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의결과는 큰 내 외수위차와 적은 통수단면적으로 인해 발생한 충격파가 창조시와 낙조시에 각각 방조제 내측과 외해로 전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격파 주변에서 흐름분리가 발생하며, 충격파가 개방구간을 통과한 후 더 넓은 지역으로 퍼짐에 따라 충격파의 조류에 대한 영향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흐름의 종방향 유속분포는 충격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낙조시 개방구간 전방에서 수위강하가 발생했으며, 내외수위차가 가장 큰 모의조건에서는 도수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충격파가 지배적인 해역의 흐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3차원적 수리해석이 필요하며, 해석결과는 대상해역에서 수행되는 해상공사 및 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sea region, where tidal current and shock waves are combined, are identified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Princeton Ocean Model, POM). The model is adopted and applied for simulating the flows of the sea region near the open sections during the seadike closure work of Sihwa Seadike which was closed in 1994.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hock waves with high velocities propagate through the sections towar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adike during the periods of the spring and ebb tides, respectively. It is found that the phenomena of flow separation occur near the shock waves; as the shock waves extend to wider zones after passing the sections, their effects on the tidal current become weak.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velocity profiles of the flows are revealed to be affected by the shock waves. For all the simulations, at the ebb tide, the drawdown of the water levels occurs in front of the open section, respectively, especially, hydraulic jump occurs when simulating the case of maximum difference in water level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adike.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sea region dominated by shock waves need to be identified employing three-dimensional analysis approach,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ocean engineering works and facility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일, 김대근, 이길성, 김달선(2005)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배수갑문의 방류능력 개선효과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3호, pp. 189-198. https://doi.org/10.3741/JKWRA.2005.38.3.189
  2. 김대근, 김용근(2007)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광정횡월류위어의 흐름특성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277-286. https://doi.org/10.3741/JKWRA.2007.40.3.277
  3. 김대근, 이재형, 서일원(2004) 교각이 설치된 월류형 여수로에서의 흐름에 대한 수치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5호, pp. 363-373. https://doi.org/10.3741/JKWRA.2004.37.5.363
  4. 김영한, 오정선, 서일원(2003)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상류 및 여수로 수리현상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5호, pp. 761-776. https://doi.org/10.3741/JKWRA.2003.36.5.761
  5.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1998) 하구둑 설치연안의 조석특성연구(최종)
  6. 농어촌진흥공사 시화사업단(1994) 시화방조제 끝막이 보고서.
  7. 백중철, 윤영호, 신문섭, Din Van Manh(2005) 해안방조제가 조류 및 잔류흐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83-96. https://doi.org/10.3741/JKWRA.2005.38.1.083
  8. 정태성, 이길성(1994) 연안 해수유동 및 온배수 확산에 관한 3차원 수치모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6권, 제3호, pp. 245-259.
  9. 서승원, 신응배, 윤태훈(1989) 방사효과를 고려한 개방경계조건,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9권, 제2호, pp. 63-71.
  10. 최흥식, 이길성(1993) 방조제 축조시 수리특성 및 조간대의 모의 해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5권, 제2호, pp. 99-106.
  11. 홍철훈(2003) 3차원 원시모델을 이용한 태풍통과시 일본 북구 연안역에서 발생한 연안융승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한국수산학회, 제36권, 제6호, pp. 723-734.
  12. Blumberg, A.F., Boris, G., and O'Connor, D.J. (1992) Modeling vertical structure of open-channel flow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8, No. 8, pp. 1119-1134.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2)118:8(1119)
  13. Chau, K.W. and Jiang, Y.W. (2001) 3D numerical model in orthogonal curvilinear and sigma coordinate system for Pearl River estuary,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7, No. 1, pp. 72-82.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1)127:1(72)
  14. Hong, C.H. (1999)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tudy of effects of typhoons on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Korea Stra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4, No. 2, pp. 73-85.
  15. Hong, C.H. (1998) Simulation of sea water response in Deukrang Bay to typhoon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3, No. 3, pp. 53-63.
  16. Hukuda, H., Yoon, J.H., and Yamagata, T. (1994) A tidal simulation of Ariake Bay-A tideland model, Journal of Oceanography, Vol. 50, pp. 141-163. https://doi.org/10.1007/BF02253475
  17. Lee, J.C., Kim, C.S., and Jung, K.T. (1998) Application of a 3D hydrodynamic model to macro-tidal water of Korea in the Yellow Sea, The Proceedings of the Hydroinformatics'98, pp. 1391-1398.
  18. Mellor, G.L. (2003) Users guide for a three-dimensional, primitive equation, numerical ocean model (June 2003 version), Princeton University.
  19. Park, K., Oh, J.H., Kim, H.S., and Im, H.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Korea,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8, No. 3, pp. 257-267.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2)128:3(257)
  20. Park, K. and Oh, J.H. (1998)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a hydrodynamic model in chunsu bay and adjacent coastal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10, No. 3, pp. 109-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