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도시계획의 계획지표를 반영한 U-City의 U-방범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U-Service for Security in U-City Newtown Planning

  • 윤효진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투고 : 2009.07.20
  • 심사 : 2009.08.05
  • 발행 : 2009.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시대를 선도하는 U-City 추진이나 U-City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중요하지만, 오랜 역사적 경험과 지속적 연구로 성숙되어진 공간계획기법들과 연계되는 U-City의 추진이 필요하다는 시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최근의 신도시계획에서 나타나는 각종 공간계획지표의 변화특성, 특히 안전이나 방범에 대한 계획지표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안전한 도시공간 형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법과 전통적인 안전도시구상을 위한 방어공간이론, 최근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각각의 계획적 지표들이 계획단계부터 통합되어지지 않고 추진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 연계하려는 시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였던 범죄예방를 위한 공간계획의 시점에서 보면, 건축적인 접근과 함께 비건축적인 접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감시 등 비건축적 접근에 치중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CCTV 등의 활용이 시대적 요구라고 할지라도 물리적 공간계획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향에서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나 이에 대한 배려는 미약한 실정이었다.

This study started with necessity of historical spatial planning skills in U-city planning. Though U-city technology and information are very important, U-city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on the base of various experience of spatial planning. This study explored spatial planning indexes change in the recent newtown plans. In particular, safety and security were intensively analyzed. In addition, many theories on safe urban space, ubiquitous technology, traditional defensible space, and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re compar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ch planning is not integrated and there is lack of network among each planning. Specifically, from the crime prevention perspective, there is only mechanical monitoring such as CCTV without architectural approach. Even though CCTV is social needs, it is necessary to adopt it with architec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ynergy effect of spatial planning and non-spatial plan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건령(1997)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시스템에 관한 연구, 공안사법연구소, pp. 136-137.
  2. 강동진, 김현수, 서충원, 허재완(2005)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지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논문집, 한국지역개발학회.
  3. 강석진, 박지은, 이경훈(2009)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지역 방법용 CCTV 효과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5권 제4호.
  4. 강석진, 이승재, 이경훈(2008) 공동주택단지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기법 적용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8권 제1호.
  5. 건설교통부(2007)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6. 경기개발연구원(2004) 환경친화형 경기도 신도시 개발의 계획기준수립에 관한 연구보고서.
  7. 경기개발연구원(2006) 경기도의 유비쿼터스 지자체화를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보고서.
  8. 경기지방공사(2007) 광교신도시 u-City 전략(USP) 수립 연구보고서.
  9. 김용성(2006)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분당신도시계획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0. 김현수(2008) 2기 신도시건설의 중간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발표자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1. 노현진(2005) 유비쿼터스 기술 구축형태를 고려한 u-City 공간계획 요소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2. 문진아(2005) 계획지표를 통한 신도시개발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13. 박은관(1999) 선진형 신도시 개발방안, 국토연구원, p. 10.
  14. 박윤환(2000) 신도시 정책결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p. 9.
  15. 배상훈(2006) 유비쿼터스 환경의 신도시개발을 위한 통신인프라 구축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16. 배순석(2000) 수도권 도시성장관리와 신도시개발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p. 38.
  17. 윤건상 외(2006) u-city 추진 동향, 삼성 SDS consulting Review, No. 2.
  18. 이경훈(1997) 공동주택에서의 범죄예방연구에 대한 비핀적 분석 및 향후 연구방향 제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3권 제12호.
  19. 이병철(2007) u-city 사업모델과 u-서비스, TTA Joural No. 112.
  20. 장세훈(1995) 최근의 수도권 신도시 개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도시행정연구, 제10집, p. 155.
  21. 정보통신부(2006) 희망한국 실현을 위한 u-city 구축활성화 기본계획 연구보고서.
  22. 최열 외(2005) 초고층아파트 공동공간의 범죄불안감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1권 제7호.
  23. 한국전산원 (2005) u-city 응용서비스 모델 연구보고서.
  24. 한국정보사회진흥원(2007) u-city 서비스 모델 확대발전 방안 연구보고서.
  25. 한국토지공사(2006) u-city 성남 판교 ISP 연구용역 보고서.
  26. 한국토지공사(2007) 성남판교 u-city 실행방안 및 실시설계 용역보고서.
  27. 황규하(2007) u-city 현황 및 서비스 모델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