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축압축 한계변형률에 의한 암반터널 변위기준 적용성 평가

Evaluation for Applications of Displacement Criterion by the Critical Strain of Uniaxial Compression in Rock Mass Tunnel

  • 김영수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 김대만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 투고 : 2009.07.01
  • 심사 : 2009.10.07
  • 발행 : 2009.11.30

초록

국내 암석의 일축응력상태와 삼축응력상태의 한계변형률 특성을 연구하고자 국내에 분포하는 6종류의 암석을 대상으로 실내 일축 및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일축압축실험에 의한 일축압축강도는 대부분 1~100MPa의 범위이었고, 한계변형률도 0.1~1.0%에 위치하여 전반적으로 Sakurai(1982)가 제시한 상 하부 경계선 내에 분포하였다. 그리고 암석의 파괴/한계변형률의 비(${\varepsilon}_f/{\varepsilon}_0$)는 일축강도에 따라 1.0~1.8의 범위로 모두 1.0 이상 나타났다. 삼축압축실험에 의한 한계변형률은 모든 암석에서 0.8%이하로 일축압축실험에서의 최대 한계변형률 1.0% 보다 작은 값을 보였으며, 일축 및 삼축압축실험로부터 산정된 값은 거의 대부분의 암석시료에서 1.0~8.0정도의 범위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삼축응력상태인 암반의 파괴변형률(${\varepsilon}_{f3}$)은 일축응력상태의 파괴변형률(${\varepsilon}_{f1}$)에 비하여 1.0~8.0배 정도 크고, ${\varepsilon}_{f1}$은 일축응력상태의 한계변형률(${\varepsilon}_{01}$)보다 1.0~1.8배정도 크게 나타나 암반터널 변위계측에 의한 안정성 기준치를 일축강도에 따른 한계변형률(${\varepsilon}_{01}$)로 규정하는 것은 안정측 관리기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Laboratory compressive test was conducted on 6 different types of rock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critical strain under uniaxial and triaxial stress condition. The results of uniaxial compressive test mostly ranged within 1~100MPa, the critical strain was also located between 0.1~1.0%. Therefore the results distribut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boundary proposed by Sakurai (1982). And the failure/critical strain ratio (${\varepsilon}_f/{\varepsilon}_0$) showed between 1.0~1.8 value depending on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he results of critical strain by triaxial compressive test showed below 0.8% value for all test, the M value calculated from uniaxial and triaxial compressive test results ranged 1.0~8.0 for most of rock specimens. It is concluded that failure strain (${\varepsilon}_{f3}$) of rock mass, which is in triaxial stress condition is larger than the results of uniaxial stress condition (${\varepsilon}_{f1}$) by 1.0~8.0 times and value showed 1.0~1.8 larger value than critical strain (${\varepsilon}_{01}$). Therefore it is a conservative way for rock tunnel to use critical strain (${\varepsilon}_{01}$) calculated from a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n tunnel displacement monito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터널협회(2007) 건설교통부제정 터널표준시방서. 구미서관, 서울, pp. 72-84.
  2. 박시현, 신용석(2007) 한계변형률 개념을 활용한 터널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3권, 제5호, pp. 29-41.
  3. 천대성, 박의섭, 박철환, 박찬(2008) 국내 암석의 역학적 특성 분석과 DB구축을 위한 기본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 제18권, 제5호, pp. 317-327.
  4. 천병식, 남순성(1996) 서울지하철 터널의 계측관리 기준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III-1호, pp. 47-59.
  5. 井春 (1986) NATMにける現場計測と管理基準値. 土と基礎, 第34券, 第2號, pp. 5-10.
  6. Duncan, J. M. and Chang, C. Y. (1970) Nonlinear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in soil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SM5, pp. 1629-1954.
  7. Sakurai, S. (1982) An evaluation technique of displacement measurements in tunnel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JSCE, Vol. 317, pp. 93-100.
  8. Sakurai, S. (1997) Lessons Learned from Field Measurements in Tunnelling.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12, No. 4, pp. 453-460. https://doi.org/10.1016/S0886-7798(98)00004-2
  9. The British Tunnelling Society and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2004) Tunnel lining design guide. Thomas Telford, pp.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