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치해석을 이용한 강관합성말뚝의 보강효과 분석 (II) - 지반 지지력 -

Analysis of Reinforcement Effect of Steel-Concrete Composite Piles by Numerical Analysis (II) - Bearing Capacity -

  • 김성렬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시훈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문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이주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투고 : 2009.06.03
  • 심사 : 2009.08.04
  • 발행 : 2009.11.30

초록

강관합성말뚝은 외부 강관의 합성 구속효과에 의해 말뚝강도가 커지고, 연성파괴 거동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 지반에 근입된 말뚝에 대하여 말뚝재료의 항복거동 및 지반의 탄소성 거동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하중-변위 거동 및 강관합성말뚝의 보강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관, 콘크리트, 강관합성말뚝에 대하여 각각 말뚝직경과 재하방향에 따른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직방향 극한지지력의 경우 강관합성말뚝은 강관말뚝과 비교하여 평균 1.90배, 콘크리트 말뚝에 대하여는 평균적으로 동일한 지지력을 보여주었다. 허용변위 기준에서의 수평방향 지지력의 경우 강관합성말뚝은 강관말뚝에 비하여 평균 1.46배, 콘크리트 말뚝에 비하여 평균 1.25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허용변위 기준에서의 강관합성말뚝의 말뚝두부 변위는 평균적으로 강관말뚝의 약 78%, 콘크리트 말뚝의 약 53%로 나타나 강관합성말뚝의 변위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해석조건에서 강관합성말뚝의 수직방향 극한지지력 증가효과는 작았지만 수평방향 재하시의 강관합성말뚝의 변위억제 효과에 의해 현장타설말뚝의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eel pipe of steel-concrete composite piles increases the pile strength and induces the ductile failure by constraining the deformation of the inner concrete. In this research, the load-movement relations and the reinforcement effect by the outer steel pipe in the steel-concrete composite pile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es, which can simulate the yielding behavior of the pile material and the elasto-plastic behavior of soils. The parameters analyzed in the study include three pile materials of steel, concrete and composite, pile diameter and loading direction. As the results, the axial capacity of the composite pile was 1.9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steel pipe pile and similar with that of the concrete pile. At the allowable movement criteria, the horizontal capacity of the composite pile was 1.46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steel pile and 1.25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concrete pile. In addition, the horizontal movement at the pile head of the composite pile was about 78% of that of the steel pile and about 53% of that of the concrete pile, which showed that the movement reduction effect of the composite pile was significant and enables the economical design of drilled shaft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오성, 송치용, 이종성, 장영철(2008) 장대교량기초의 설계 및 시공 제2돌산대교 사례.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제24권 제4호, pp. 49-58.
  2. 김성렬 이주형, 박재현, 정문경(2009) 수치해석을 이용한 강관합성말뚝의 보강효과 분석(I)-재료강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C호, pp. 259-266.
  3. 대한토목학회(2001)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하부구조편).
  4. 이주형, 신휴성, 박민경, 박재현, 곽기석(2008) 수치해석을 이용한 국내 해상교량 현장타설말뚝의 강관지지효과.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3C호, pp. 149-158.
  5. 조성민, 정일환, 최고일, 전병섭(2006) 재하시험을 활용한 인천대교 국고구간 현장타설말뚝의 설계와 시공. 2006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8) 고효율 하이브리드 대형 기초공법 개발 (II).
  7. AASHTO (2004)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8. ASCE (1997) Standard Guidelines for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Pile Foundations, ASCE 20-96, ASCE.
  9. Comodromos, E.M. and Pitilakis, K.D. (2004) Response evaluation for horizontally loaded fixed-head pile groups using 3-D non-linear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 29, pp. 597-625. https://doi.org/10.1002/nag.428
  10. Davisson, M.T. (1973) High capacity piles. Proceedings, Innovations in Foundation Construction, ASCE.
  11. Fellenius B.H. (2004) Unified design of piled foundations with emphasis on settlement analysis. Geo-Trans Conference, Los Angeles, ASCE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125, pp. 253-275.
  12. Itasca (2006) FLAC 3D ver. 3.1 User's Guide.
  13. Pott, D.M. (2003) Numerical analysis: a virtual dream or practical reality?. Geotechnique, Vol. 53, No. 6, pp. 535-573. https://doi.org/10.1680/geot.2003.53.6.535
  14. Terzaghi, K. (1943) Theoretical Soil 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