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Method of Extracting Unregistered Islands using LiDAR Data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미등록 섬 추출 연구

  • 위광재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한진정보통신(주) GIS기술연구소) ;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강상구 (대한지적공사 사업처 지적정보사업단) ;
  • 강인구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국토지리정보원 지리정보과)
  • Received : 2009.08.18
  • Accepted : 2009.09.19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Although island is great worth in ecology,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important territory as a national land for developing the marine, the bottom of the sea and also ecological studying field for the ages to come, it has not been managed because of lack of a scientific surveying. In the case of a cadastral record, inaccessible islands have not been registered in current cadastral record because of the limit of surveying technology in 1910. Therefore, a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about unregistered islands are necessary. But, a airborne laser scanning system is possible to acquire an accurate positions with digital images about inaccessible islands. Therefore, scientific detection of unregistered islands became possible. This paper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horeline extraction around the Heuksan island using Lidar data and the detection of unregistered islands comparing the cadastral map to the ortho-image. Also, we presented the extraction technique of unregistered islands by calculating their positions and areas. As a result, we extracted effectively 16 unregistered islands around the Heuksan island.

섬은 생태 환경보전가치가 뛰어나고 후세를 위한 생태학습장 및 해상 해저개발 등에 있어 국가영역으로서 중요한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조사 미비로 인하여 관리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적공부의 경우 1910 년대 측량기술의 한계로 인해 접근이 불가능한 섬들은 현재의 지적공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미등록 섬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와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반면, 항공라이다측량은 최신 측량기법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무인도서에 대해 정확한 위치정보와 함께 영상정보의 획득이 가능해 졌기 때문에 미등록 섬의 탐지를 과학적으로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라이다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흑산도 주변 섬의 해안선을 추출하고 지적도 및 정사영상과 비교하여 미등록 섬을 탐지하였다. 또한 위치 및 면적 산출하여 미등록 섬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흑산도 주변에 대해 총 16개의 미등록 섬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전국 미등록섬 일제조사 및 등록 종합계획, 2009.
  2. 강준묵, 민관식, 위광재, 김재명, 2007년, 지적측량에 라이다 측량기술의 활용방안,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443-446
  3. 강준묵, 윤희천, 이창복, 박준규, 2006년, GPS에 의한 LiDAR DEM의 정확도 평가 ,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5호, pp.443-451.
  4. 김성준, 이임평, 김용철, 정현, 2006년, 항공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457-462.
  5. 위광재, 정재욱, 2006년,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 알고리즘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09-215.
  6. I-Chieh Lee, Bo Wu, and Ron Li, Shoreline extraction from the integration of LiDAR point cloud data and aerial orthophtotds using mean shift segmentation, ASPRS 2009 Annual Conference.
  7. Robertson, W.V., D. Whitman, K.Q. Zhang, and S. P. Leatherman, 2004. Mapping shoreline position using airborne laser altimetry.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0:884-892.
  8. Stockdon, H.F., A.H. Sallenger, J.H. List, and R.A. Holman, 2002. Estimation of shoreline position and change using airborne topographic LiDAR dat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8:502-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