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포늪의 교란된 제방에서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와 1차생산

Seasonal Change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Primary Production in the Disturbed Banks of the Upo Wetland

  • 강은영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김태근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오경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경상대학교 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 투고 : 2009.09.16
  • 심사 : 2009.11.17
  • 발행 : 2009.12.31

초록

우포늪의 제방 보강공사로 식생이 교란된 대대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구조물을 설치한 지역과 설치하지 않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 및 1차생산량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8 종류로 구조물 지역과 비구조물 지역에서 각각 72 종류 및 75 종류가 각각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수생식물 3 종류, 습생식물 33 종류, 중생식물 42 종류 등이었으며, 귀화식물은 20종으로 전체의 25.6%로서 구조물 지역 17 종류(23.6%) 및 비구조물 지역 18 종류(24.0%)로 두 지역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구조물 지역은 쇠뜨기가, 비구조물 지역은 토끼풀이 각각 우점하는데, 두 지역 모두 개망초, 환삼덩굴, 자운영, 돼지풀 등 귀화식물의 중요치가 비교적 높았다. 종다양성지수는 1.010~1.450으로 구조물 지역 및 비구조물 지역 모두 10월에 높고 3월에 가장 낮았으며, 조사기간 중 비구조물 지역이 구조물 지역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두 지역간의 군집유사도는 0.359~0.456으로서 3월에 가장 낮고 식물의 최대 번성기인 8월에 가장 높았다. 구조물 지역에서 관속식물의 단위면적당 순1차생산량은 $417.1\;g/m^2$로서 갈대 179.5, 달맞이꽃 84.0, 물억새 $66.1\;g/m^2$ 등의 순이었으며, 비구조물 지역의 순1차생산량은 $392.7\;g/m^2$로서 망초 102.5, 물억새 87.4, 갈대 $81.6\;g/m^2$ 등의 순이었다.

Seasonal changes of flora, vegetation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on for the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e disturbed bank, Daedaejae, one of the reinforced bank of Upo wetland, in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from October 2005 to October 2006. The flora of the whole study area, the fabricated and the non-fabricated bank area were composed of 78, 72, 75 taxa, respectively. Among all of them, hydrophytes, hygrophytes, and mesophytes were 3, 33, and 42 taxa, respectivel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0 taxa, which was 25.6% of 78 taxa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Dominant species of the fabricated and the non-fabricated bank area was Equisetum arvense and Trifolium repens, respectively. Importance values of the naturalized plants such as Erigeron annuus, Humulus japonicus, Astragalus sinicus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ere relatively high in both area.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H') were 1.010~1.450, and those were relatively high in October and low in March in both area. Those of the non-fabricated bank area was higher than the fabricated bank area during the whole study period. The similarity indices(CCS) between two kinds of banks were 0.359~0.456, and was lowest in March and highest in August, the culmination period of the vascular plants. Net primary production in the fabricated bank area was $417.1\;g/m^2$, and those of Phragmites communis, Oenothera odorata,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179.5, 84.0, and $66.1\;g/m^2$, respectively. Net primary production in the nonfabricated bank area was $392.7\;g/m^2$, and those of Erigeron canad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hragmites communis were 102.5, 87.4, and $81.6\;g/m^2$,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 김철수, 오경환,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물상, 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한국습지학회지, 제9권, 제2호, pp. 45-55, 2007.
  2. 강상준, 곽애경, 청주 무심천의 교란에 따른 식생 분포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제21권, 제5-1호, pp. 435-448, 1998.
  3. 강선희, 이팔홍, 손성곤, 김철수, 오경환, 남강의 연안대 습지에서 교란지와 비교란지의 식생 구조와 환경 요인의 비교, 한국습지학회지, 제3권, 제1호, pp. 1-17, 2001.
  4. 경상남도, 경상남도 습지로드맵, 254p, 2006.
  5. 김구연, 이찬우, 주기재, 우포늪 물억새 군락에서 생장초기에 잘라주기와 태워주기에 따른 성장 변화, 한육수지, 제37권, 제2호, pp. 255-262, 2004.
  6. 김창기, 정연숙, 주광영, 이규송, 산불 피해 산림의 식생 발달과 토양 보존을 위한 사면 처리 효과, J. Ecol. Field Biol., 제29권, 제3호, pp. 295-303, 2006. https://doi.org/10.5141/JEFB.2006.29.3.295
  7. 김태근, 이팔홍, 오경환,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 현존량 및 1차 생산성, 한국습지학회지, 제9권, 제2호, pp. 33-43, 2007.
  8. 김한순,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제34권, 제2호, pp. 90-97, 2001.
  9. 낙동강유역환경청, 생태계보전지역에서의 행위허가 신청서, 낙동강환경관리청, 73p, 2004.
  10. 박수현, 한국 귀화식물의 현황, 자생식물, 제51권, pp. 12-19, 2000.
  11.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보유편), 일조각, 서울, 178p, 2001.
  12.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371p, 1995.
  13. 송종석, 송승달, 낙동강 상류 한천 일대의 하천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제19권, 제5호, pp. 431-451, 1996.
  14. 오경환, 정양호 생태계에 있어서 수생관속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순환, 이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1p, 1987.
  15. 오경환, 수생관속식물이 호소 생태계의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소보, 제6권, pp. 91- 108, 1990.
  16. 오경환, 김철수, 이팔홍, 손성곤,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한국습지학회지, 제6권, 제3호, pp. 107-118, 2004.
  17. 오경환, 경남지역 내 습지생태계 기본 현황 조사(III): 식물생태 분야, 경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3.
  18. 유주한, 박경훈, 윤영철, 송봉근,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습지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29-38, 2009.
  19.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서적, 624p, 1996.
  20. 이정아, 진양호 습지의 식생 구조와 환경요인.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68p, 1997.
  21.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990, 1980.
  22.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914 + 910, 2003.
  23. 정영호, 최홍근, 낙동강 하구의 습생식물 및 수중 식물구계의 분포, 한국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pp. 197-206, 1983.
  24. 창녕군, 우포 . 목포늪 생태계 보전 방향, 경남개발연구원, 396p, 1997.
  25. 환경청, 우포늪, 주남저수지 생태계 조사, 212p, 1987.
  26. Braun-Blanquet, J.,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ated by G. D. Fuller and H. S. Conard, 1965). Mcgraw- Hill Book Company Inc., London, 377p, 1932.
  27. Clements, F.E., Plants succession: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vegetation. Cam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ublication No. 242, 1916.
  28. Connell, J.H. and Slatyer, R.O., Mechanisms of succession in natural communities and their role in commun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 Am. Nat. 111, pp. 1119-1124, 1977. https://doi.org/10.1086/283241
  29. Odum, E.P.,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1969.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30. Odum, E.P., Basic ecology. CBS College Pub, Philadelphia. pp. 543-547,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