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Material Provenance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Pottery and Kilns from Gundong and Majeon Sites in the 3rd Century at Yeonggwang, Korea

영광 군동.마전 원삼국시대 토기와 가마의 제작특성 및 태토의 산지해석

  • Jang, Sung-Yo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Gi-Gil (Department of History, Chosun University) ;
  • Moon, Hee-Soo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이기길 (조선대학교 사학과) ;
  • 문희수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09.03.02
  • Accepted : 2009.03.10
  • Published : 2009.03.01

Abstract

Potsherds and kilns of the AD 3th century excavated from Gundong and Majeon sites, Korea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venance of potsherds and kilns on the pastes. For potsherds, kilns blocks and in-situ paleo-soils, provenance of raw materials were estimated through mineralogy and geochemistry, while production technique and thermal feature of kilns were investigated through observation of textures and compositions as well as firing experiment on paleo-soils. As a result of study, potsherds and kilns were found to have similar mineralogical compositions as the neighboring paleo-soils and to have same evolution path with that of geochemistry. The potsherd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firing temperature and production technique. Group 1 consists of reddish stamped pattern pottery with loose textures, which has many pores and contains many iron oxides. Its temper is less than about 0.5mm, and was probably fired between 700 to $800^{\circ}C$. Group 2 contains ash to grayish blue stamped pattern pottery, which has vitrified texture and few pores. Its temper is less than about 0.5mm, and was probably fired from 900 to $1,000^{\circ}C$. However, some potsherd belongs to the group 2 in terms of features for temper and pastes, but it was probably fired over $1,100^{\circ}C$. Group 3 contains reddish and grayish stamped pattern pottery. It has vitrified matrix, few pores and temper consists of polycrystalline quartz and feldspar over 2mm, and it was probably fired around $1,000^{\circ}C$. The kiln had experienced temperature from 600 to $700^{\circ}C$ on the wall, from 900 to $1,000^{\circ}C$ on the bottom, suggesting the function of high temperature firing.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원흥리 군동과 마전에서 발굴된 원삼국시대 가마 2기와 토기 20점을 대상으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태토의 산지, 토기의 제작특성, 그리고 원삼국시대 가마의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토기와 가마는 인근 토양과 유사한 광물조성을 갖고 있으며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에서 동일한 진화 경향성을 가져, 주변 토양으로 제작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일부 토기에서는 $P_2O_5$, CaO, $Na_2O$의 부화현상이 관찰되어 토기가 오랜 매장기간동안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군동유적에서 동쪽으로 약 600m 떨어진 마전유적 집자리에서 발견된 토기도 군동의 토기와 같은 태토와 제작기법으로 생산되어 인근 마전 마을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토기들은 물리적 특성, 소성온도, 제작기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그룹 1은 적갈색 연질의 타날문 토기가 주를 이루는데, 붉고 공극이 많은 기질에 산화철을 많이 함유하고 비짐은 0.5mm 이하로서 소성온도는 $700{\sim}800^{\circ}C$로 추정된다. 그룹 2는 회백색 및 회청색의 타날문 토기를 포함하는데, 유리질화된 기질에 공극이 적고 비짐은 0.5mm 이하로서 소성온도는 $900{\sim}1,000^{\circ}C$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부 토기는 태토, 조직, 비짐의 특성상 그룹 2에 속하지만 소성온도가 $1,100^{\circ}C$ 이상의 고온으로 해석되었다. 그룹 3은 적갈색 및 회청색의 타날문 토기를 포함하는데, 유리질화된 그릇에 공극이 적은 편이고 비짐은 2mm 이상의 다결정질 석영과 장석으로 구성되며 소성온도는 $1,000^{\circ}C$ 부근으로 추정된다. 토기들이 같은 가마에서 동일한 태토로 제작되어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기형과 용도에 따라 다소 다른 제작방법(태토의 수비, 비짐, 가마의 소성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호 가마는 가마벽이 $600{\sim}700^{\circ}C$의 열을, 바닥면은 $900{\sim}1,000^{\circ}C$의 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고온소성이 가능한 가마였고, 2호 가마는 바닥이 $500^{\circ}C$ 이하의 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가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몽룡, 강형태, 이성주, 김승원, "신라.가야토기의 생산과 분배에 관한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18, p157-207, (1995).
  2. 김양옥, "한반도 철기시대 토기의 연구". 백산화보, 20, p121-213, (1976).
  3. 이성주, "삼국시대 전기 토기의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1, p93-187, (1988).
  4. 최몽룡, 강형태, 신숙정, "미사리출토 토기의 과학적 분석(II)". 고고역사학지, 8, p85-111, (1992).
  5. 이희수, 박충래, 신숙정, "조선시대 토기의 성분분석". 한국상고사학보, 15, p215-248, (1995).
  6. 최몽룡, 신숙정, 이동영, "남한강유역 홍도의 과학적 분석". 국사관 논총, 82, p1-45, (1998).
  7. 문희수, 이기길, "조선시대 기와, 전돌과 질그릇의 재료와 구운온도 분석". 한국고고학보, 34, p161-194, (1996).
  8. 문희수, 이동영, 이기길, "광주 뚝뫼유적 질그릇의 재료와 구운 온도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30, p7-26, (1999).
  9. 이기길, 이문원, "제주도 신석기 청동기시대 질그릇의 산지연구". 한국고고학보, 25, p23-46, (1990).
  10. 이기길, 이윤수, 윤종석, "동삼동유적에서 나온 신석기시대 덧문지른무늬토기의 연구(II)-바닥흙과 구운 온도의 과학분석". 고문화, 36, p23-46, (1990).
  11. 이기길, "한국 신석기시대 질그릇의 제작기술-암사동 동삼동 북촌리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16, p39-67, (1994).
  12. 이기길, 문희수, "김천 송죽리 유적 질그릇의 재료와 구운온도분석". 김천 송죽리 유적 I, p269-281, (2006).
  13. 최석원, 이찬희, 오규진, 이효민, 이명성, "천안 운전리 청동기 유적에서 출토된 무문토기의 정량분석, 산지 및 소성조건". 문화재, 36, p267-296, (2003).
  14. 홍종욱, 정광용, "토기의 소성온도에 따른 미세조직 비교연구". 보존과학연구, 15, p3-24, (1994).
  15. 조대연, "진천 삼룡리 산수리 유적 출토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고찰-토기 암석학과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57, p55-84. (2008).
  16. 최성락, 이철, 김승원, 김권수, 강형태, "다변수분석법에 의한 고대토기의 분류". 한국분석과학회지, 4, p2, (1991).
  17. 강형태, 홍종욱, 김승원, 정광용, "다변해석에 의한 제주도 고대토기의 산지연구". 한국전통기술과학회지, 1, p1, (1994).
  18. 유혜선, 이수영, 강형태, "고대토기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의한 분류-조도 및 고성패총의 토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17, p521-550,(1994).
  19. Freestone, I. C., Meeks, N. D. and Middleton, A. P., "Retention of phosphate in buried ceramics: An electron microbeam approach". Archaeometry, 27, p161-177, (1985). https://doi.org/10.1111/j.1475-4754.1985.tb00359.x
  20. Maritan L., Mazzoli, C., "Phosphate in archaeological find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urial". Archaeometry, 46, p673-683, (2004). https://doi.org/10.1111/j.1475-4754.2004.00182.x
  21. 박수현, "호남지방 토기요지에 대한一試論". 호남문화재연구원연구논문집, 1, p41-74, (2001).
  22. 이기길, 김선주, 최미노, "영광 마전 군동 원당 수동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한국도로공사, p328-330, (2003).
  23. 최위찬, 황상구, 김영범, "영광 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2-6, (1986).
  24. 문희수, "점토광물학". 민음사, p86-189, (1996).
  25. 박영석, 김종균, 김진, "영광-김제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4, p55-70, (2001).
  26. Nockolds, S. R., and Allen, 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27. Rollinson, H. R., "Using geochemical data".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p102-150, (1993).
  28. Nesbitt H. W., Markovics, G., "Weathering of gramdioritic crust, long-term storage of elements in weathering profiles and petrogenesis of siliciclastic sediments". Geochemica et Cosmo chimica Acta, 61, p1653-1670, (1997). https://doi.org/10.1016/S0016-7037(97)00031-8
  29. Maritan, L., Mazzoli, C., Nodari, L. and Russo,. U., "Second iron age grey pottery from Este (northeastern Italy): study of provenance and technology". Applied Clay Science, 29, p31-44, (2005). https://doi.org/10.1016/j.clay.2004.09.003
  30. Jordan, M. M., Boix, A, Sanfeliu, T. and de la Fuente, C., "Firing transformations of cretaceous clays used in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tiles". Applied Clay Science, 14, p225-234, (1999). https://doi.org/10.1016/S0169-1317(98)00052-0
  31. 이지영, "호남지방 3-6세기 토기가마의 변화양상". 호남고고학보, 30, p78-79,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