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 Analysi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Gwangjueupseong (Gwangju Town Wall), Korea

광주읍성 축성암석의 재질분석과 산지해석

  • Lee, Myeong-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 Yu-G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eo, Jeong-Seo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전유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서정석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09.02.06
  • Accepted : 2009.03.04
  • Published : 2009.03.01

Abstract

Gwangjueupseong (Gwangju Town Wall) has been found in the site of the Asian Culture Complex (former Provincial Government of Jeonnam) by archaeological field survey. The length of the remaining wall is 85.1m, and the Town Wall consists of ten kinds of rock type. The major rock types are dacite (41.1%) and andesite (35.7%). Dacite composes main rock blocks of the wall, and andesite is used to fill the cavity between main rock blocks. These rocks look very similar to basement rocks of the Mudeung Mountain on the basis of occurrence features, magnetic susceptibility, petrolog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Also, quarrying traces were found on the southwestern slope of the mountain along the Jeungsimsa Temple valley. Thus, it is probable that the rock materials of the Gwangju Town Wall were supplied from the Mudeung Mountain and that they were transported along the Gwangju river.

광주읍성은 구 전남도청이 위치한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건립부지 내에서 지표조사 결과 확인된 유적이다. 성벽의 길이는 일부 유실구간을 제외하고 총 85.1m이며, 석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총 10종의 암석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석영안산암이 41.1%, 안산암이 35.7%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석영안산암은 성벽을 축성하는 주석재로 사용되었으며, 안산암은 주로 큰 부재 사이를 채우기 위한 사잇돌로 사용되었다.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으로 볼 때 축성암석의 산지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무등산 일대에 분포하는 암석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성인적 동질성을 검토한 결과, 산출상태, 전암대자율, 구성광물의 종류, 상대적 함량 및 조직, 지구화학적 특징이 서로 아주 유사하였다. 또한 무등산 남서쪽 사면의 증심사 계곡을 따라 석영안산암의 노두에서는 암석의 채석 흔적이 산재한다. 따라서 광주읍성의 축성에 사용된 대량의 석재는 무등산 남서 사면에서 조달하였으며, 석재의 이동은 광주천을 이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일, "광주읍성". 광주광역시 민속박물관, (1997).
  2. 박의준, "우리나라 남부지역 읍성지의 지형경과 분석". 지리학연구, 36, p299-311, (2002).
  3. 심정보, "한국 읍성의 연구: 충남지방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1995).
  4. 문화재청, "문화재 상세정보, 문화재자료 제20호 광주읍성유허". www.ocp.go.kr (2009)
  5. 전남문화재연구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부지내 발굴조사(2차) 지도위원회 자료집". p3-13, (2007).
  6. 나건주, 이찬희, "당진 자개리 1유적출토 마제석촉의 제작과정 및 형식학적 검토". 금강고고, 3, p5-37, (2006).
  7. 박성미, 이찬희, 김지영, 정일, "광주 효천유적 출토 청동기시대 석기의 재질특성과 원산지 추정". 보존과학회지, 21, p5-20, (2007).
  8. 김지영, 이찬희, 김진영, "보성 거석리 및 해남 분토리 유적 출토 녹니석제 구슬의 재질특생과 원산지 해석". 보존과학회지, 23, p23-37, (2008).
  9. 이찬희, 김재철, 나건주, 김명진, "아산 시전리 유적 출토 옥기(천하석)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문화재, 39, p219-242, (2006).
  10. Lee, C.H., Choi, S.W., Lee, H.M., and Lee, M.S, "Archaeological implication of lithic artifacts from the Unjeanri Bronze age site, Cheona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 p335-338, (2006). https://doi.org/10.1016/j.jas.2005.07.015
  11. 이찬희, 정연삼, 정민호, 이명성, 김영택, "경주 남리사지에 사용된 석재의 암석학적 특성과 원산지 해석". 문화재과학기술, 3, p29-42, (2004).
  12. 이현구, 송석환, 이찬희, "부여 능산리 백제 사찰지에 사용된 석재의 특성과 산지의 추정". 한국고고학보, 34, p153-172, (1996)
  13. 양희제, 이찬희, 최석원, 이명성, "익산 미륵사지 석탑 구성부재의 암석학적 특징과 석재의 원산지 해석". 지질학회지, 42, p293-306, (2006).
  14. 좌용주, 김건기, 고석배, 김종선, "감은사지 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암석학회지,15, p128-138, (2006).
  15. 이명성, 이정은, 표수희, 송치영, 이찬희 "논산 관촉사 석등의 훼손도 진단 및 기원암의 성인적 해석", 보존과학회지, 17, p5-18, (2005).
  16.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183-196, (2007).
  17. Ishihara, S.,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48, p219-224, (1998). https://doi.org/10.1111/j.1751-3928.1998.tb00019.x
  18. Uchida, E., Ogawa, Y., and Nakagawa, T., "The stone materials of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he orientation of the bedding along of the sand-stone". Journal of Mineralogy, Petrology and Economic Geology, 93, p411-426, (1998). https://doi.org/10.2465/ganko.93.411
  19. Uchida, E., Ogawa, Y., Maeda, N. and Nakagawa, T., "Deterioration of stone materials in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Engineering Geology, 55, p101-112, (1999).
  20. Lee, C.H., Lee, M,S., Suh, M. and Choi, S,W., "Weathering and deterioration of rock properties of the Dabotap pagoda (World Cultural Heritage),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47, p547-557, (2005). https://doi.org/10.1007/s00254-004-1177-y
  21.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광주 지질도폭 설명서 (1:250,000)". 한국자원연구소, p9-79, (1997).
  22. 김용준, 박재봉, 박병규, "무등산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1, p214-233, (1992).
  23. 정지곤, 이종만, "화성암석학". 시그마프레스, p353-362, (2000).
  24. 이명성, "경주 불국사 및 감은사지 석탑의 재질특성과 보존과학적 손상 평가".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이학박사학위논문, p288, (2007).
  25. Nockolds, S.R. and Allen,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65, p1007-1032, (1954).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26. Govindaraju, K., "Compilation of working values and samples description for 272 geostandards". Geostandards Newsletter, 13, p1-113, (1989).
  27. Boynton, W.V., "Geochemistry of the rare earth elements; meteorite studies". In Henderson, P. (Ed),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Elsevier, p63-107, (1984).
  28. Pearce, J,A,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r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p230-249, (1983).
  29. Martinez-Torres, L.M., "Lithological maps of churches in the Diocese of Vitoria (Spain): Space-time distribution of building stone and ancient quarries". Building Environment, 42, p860-865, (2007).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5.1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