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옥동유적 출토 청동시(靑銅匙)의 미세조직 및 산지연구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 이주현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Chung, Kwang-Yong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The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Joo-Hyun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The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09.10.26
  • 심사 : 2009.11.28
  • 발행 : 2009.12.20

초록

경북 안동 옥동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4점 중 청동시(靑銅匙) 5점을 대상으로 하여 ICP, 미세조직, TIMS 등의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청동시(靑銅匙)는 Cu- Sn 합금으로 Cu 75%이내, Sn 21~23%로 방짜유기에 해당되며, Pb, Fe, Zn 등이 미량성분으로 첨가되었다. 특히 납(Pb)은 0.04%의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제련시 원광석에 포함된 불순물로 보인다. 청동시(靑銅匙)의 미세구조를 볼 때 청동시(靑銅匙)의 모양으로 골을 판 거푸집을 써서 주조한 다음 $586^{\circ}C$ 근방에서 가공하여 급랭한 것으로 추정된다. 열이온화질량분석(TIMS) 측정을 시행하여, 한국, 중국, 일본 납광석의 산지별 데이터 베이스에 대조해 봤을 때 청동시(靑銅匙)의 원료산지는 중국 남부의 납동위원소비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A series of scientific analyses, including ICP-AES, microstructure, and TIMS, were carried out on 5 bronze spoons among 14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bronze spoons were formed from an alloy of no more than 75% Cu and 21~23% Sn, placing it in the category of brassware, with trace elements such as Pb, Fe, and Zn. In particular, plumbum Pb contents of which traces of 0.04% were found, appears to have been added as an impurity during smelt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bronze spoons suggests that the casting process involved using a spoon-shaped hollow mold, followed by an ropid-cooling process after the shape was perfected at approximately $586^{\circ}C$. After comparison of data measured from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IMS) of galena from Korea, China, and Japan, it appears that the raw materials for the bronze spoons included galena (lead sulfide) produced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 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pp3-5, (2000).
  2. 정광용, 강형태, 정동찬, 윤용현, 이훈, "고대청동기의 성분 조성 및 산지추정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137-153, (2004).
  3. 동양대학교박물관, "안동 옥동 택지개발사업지구내 유적발굴조사 결과보고". 동양대학교박물관, p1-10, (2005).
  4. 정의도 "武寧王陵 出土 靑銅匙箸硏究". 先史와 古代, 30,p213-283, (2009).
  5. Gunter Petzow, "Metallographic Etching". American Society for Metals, (1978).
  6. 馬淵久夫, 平尾良光, "東アジア 鉛鑛石の 鉛同位體比". 考古學雜誌, 73-2, 199-245, (1987).
  7. 홍정실, "유기". 대원사, p68-74, (1999).
  8. Lyndsie Selwyn, "Metals and Corrosion". p55, (2004).
  9. 정영동, 정원섭, "신라 왕경 출토 청동유물의 미세조직과 성분분석 및 그 시대의 제작기술 추청". 대한금속재료학회지, 45, p36-44, (2007).
  10. 정광용, 최광진, 강현삼, "고려시대 월산리유적 청동유물의 미세조직 연구". 문화재과학기술, 1, p75-85, (2002).
  11. Brill, R.H., Wamlper, J.M.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p71, (1967).
  12. 강형태, 문선영, 홍태기, 김승원, 김규호, 허우영, "고대청동기의 과학적분석(I)-미륵사지.경주유적의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사학보, 25, (1997).
  13. 강형태, 정광용, 조상기, 이문형, "논산시 원북리 토광묘유적 출토 청동기의 과학분석". 한국상고사학보, 39, p22-26,(2003).
  14. 강형태, 조남철, 정광용, 완도법화사지동종의 과학적분석및 산지연구, 호남고고학보, 제25호, (2007)
  15. 안주영, "납동위원소비에 의한 한국 출토 청동제품의 산지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2, (2007).
  16. Barnes, I.L., "The Technical Examination Lead Isotope Determination and Elemental Bronze Vessels".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MA, Ed. Maddin R, p21-26, (1986).